방사능 재난대응 인프라 활용, 4월 초 4병상 운영 가능할 듯 방사선 비상시 ‘시간·거리·차폐’ 원칙, 감염병 대응과 유사성 홍영준 병원장 “이미 토대는 갖춘 상태, 인력지원 보강 필요”
-
한국원자력의학원이 방사선 비상 또는 방사능 재난 시 발동되는 인프라를 코로나19 대응에 활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전국적으로 부족한 음압격리병상 일부 확보도 가능해진다.19일 원자력의학원에 따르면 의학원 내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이하 방비센터)’를 기반으로 코로나19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이르면 4월부터 변화가 시작된다.방비센터는 방사능 재난 등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피폭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곳으로 현재 음압격리병상 9개를 보유하고 있다.이 중 음압격리병상 4개를 분리해 코로나19 중증환자 발생 시 활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사도 마무리한 것으로 확인됐다.가장 큰 장점은 암환자가 많은 원자력병원과 건물이 분리된 방비센터에 음압격리병상이 구축된 상황으로 원내 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선의 여유가 있다는 점이다.의학원 차원에서는 내부직원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 자체 수용을 원칙으로 하면서 점차 대응강도를 높이겠다는 방침을 세웠다.사실 코로나19 대응체계 구축과정에서 홍영준 원자력병원장의 결단력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홍 원장은 “원자력병원은 암환자가 많은 고유의 특성이 있어 코로나19 대응을 추진하는 것이 부담스러웠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현 상황을 그대로 지켜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라고 말했다.그는 “방사선 비상과 방사능 재난 시 발동되는 원칙들은 감염병 대응과 기본적 구조가 유사하다. 시설과 장비 측면에서도 토대는 구축된 상황이다”라고 언급했다.방사선 비상시에는 ‘시간·거리·차폐’ 원칙을 준용한다.구체적으로 ▲시간: 피폭 시간을 제한하거나 최소화하면 방사선원 선량 감소 ▲거리: 방사선원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방사선 선량 급격히 감소 ▲차폐: 납, 콘크리트 등 장벽으로 방사선 관통 억제 등이다.여기서 방사선을 신종 감염병 바이러스로 바꾸면 통용되는 원칙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는 결론이 나온다.홍 원장은 “최근에 감염내과도 신설해 감염병 대응을 위한 인력보강을 한 상태다. 코로나19에 투입될 의료진 풀도 만들었다. 하지만 부족한 인력으로 적절한 대응을 하기에는 한계도 존재한다”고 언급했다.그는 “내부 의료진들에게 생물학적 대응 훈련을 실시하고 있지만, 코로나19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가적 인력지원 등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한편, 원자력병원은 과학기술정통부 소속 유일한 의료기관이다. 보건복지부 소관이 아닌 특성으로 감염병 대응 시 인력충원이나 예산확보 과정에서 정부 지원책 발동이 어려운 상황이다.병원계 일각에서는 신종 감염병 확산이라는 특수 상황에 맞춰 원자력병원에도 적절한 지원체계 형성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