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스마트시티 연구·개발(R&D) 기술을 토대로 중국발 코로나19(우한 폐렴) 확진자 동선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이 외신의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달 26일부터 운영중인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은 보통 하루쯤 걸리던 역학조사 분석을 10분 이내로 단축해 추가적인 지역감염 확산을 막는데 활용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외신들의 취재요청에 따라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온라인 언론설명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은 교통·에너지·환경·안전 등 도시내 분야별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스마트시티 데이터 분석 도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확진자가 가입한 이동통신사의 위치정보와 카드 사용 내용 등 빅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한다. 기존의 역학조사가 면담을 통한 확진자의 기억에 의존하는 데 반해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확진자 이동동선과 시간대별 체류지점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대규모 발병지역(핫스팟)을 분석해 지역 내 감염원 파악에도 도움을 준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에는 질병관리본부가 확진자 정보수집·분석을 위해 경찰청·여신협회 등 28개 기관과 수작업으로 공문을 주고받느라 이동동선 파악에 보통 하루 이상이 걸렸다면 이제는 실시간 정보교환으로 분석 시간이 10분 이내로 단축됐다.
질본 정은경 본부장은 "전 부처적인 협업을 통해 단시간에 구축된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신속·정확한 역학조사가 이뤄질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이번 시스템 개발 사례처럼 국민이 꼭 필요로 하는 부분에 스마트시티 기술이 활용될 수 있게 하겠다"면서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에 관심을 보이는 해외국가·국제기구와 기술협력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역학조사 지원시스템 개발을 주도한 전자부품연구원 김재호 센터장은 "앞으로 전염병뿐 아니라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기술을 지속해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했다.
-
정부는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감염병 위기대응단계를 고려해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못박았다. 코로나19 사태가 종료되면 즉시 개인정보를 파기한다는 방침이다.
운영과정에서는 보안전문가가 시스템을 지속해서 감시하는 등 개인정보 보호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시스템 접근은 필수 최소인원으로 제한하고 담당자 역할에 따라 권한도 엄격히 구분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보 열람과 분석은 질본과 지방자치단체 역학조사관만 할 수 있고 다른 정부 기관은 접속·활용이 불가능하게 설계됐다"면서 "전산 해킹을 막고자 별도의 전용망과 2중 방화벽은 물론 접속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확진자 개인정보 활용은 '감염병예방법'에서 정한 역학조사 관련 규정에 따른 것이다.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를 겪은 후 정확한 역학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법률을 개정해 마련했다.
한편 앞서 일부 외신은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한국의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를 혁신 사례로 소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