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9000억 투입 강릉~제진 111㎞ 연결'한반도 뉴딜'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판문점선언 2주년 맞아 추진 기념식 열어
  • ▲ 동해북부선 옛 터널.ⓒ연합뉴스
    ▲ 동해북부선 옛 터널.ⓒ연합뉴스

    정부가 내년 말 착공을 목표로 53년 만에 동해북부선 복원을 본격화한다. 남측의 끊긴 강릉~제진 구간에 2조852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남북 경제협력의 물꼬를 트는 한편 한반도 뉴딜사업을 통한 경제 활성화로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구상이다.

    국토교통부와 통일부는 27일 4·27 판문점선언 2주년을 맞아 강원도 고성군 제진역에서 동해북부선 추진 기념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김현미 국토부·김연철 통일부 장관과 최문순 강원도지사, 지역 국회의원, 철도 관련 기관장과 지역주민 등이 참석했다.

    동해북부선은 1967년 노선 폐지 후 강릉~제진 구간이 끊긴 상태다. 이번 건설사업을 통해 53년 만에 복원될 전망이다. 이 사업은 지난 23일 열린 제313차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남북협력사업으로 인정돼 예비타당성조사(예타)가 면제됐다.

    남강릉역부터 강릉역을 거쳐 제진역까지 총 110.9㎞를 단선 전철로 잇는 이번 사업은 총 2조8520억원쯤이 투입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 사업계획에 따른 적정성 검토와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사업 규모를 확정할 계획"이라고 했다. 김현미 장관은 축사에서 "동해북부선 사업은 국가균형발전은 물론 남북철도 협력을 준비하는 사업"이라며 "올해 말까지 기본계획을 마치고 내년 말 착공을 목표로 속도감 있게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 동해북부선 연결 노선도.ⓒ국토부
    ▲ 동해북부선 연결 노선도.ⓒ국토부

    남북 정상은 2년 전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경의선·동해선 철도와 개성∼평양 고속도로 등을 연결하고 현대화하는 데 합의했다. 남북은 같은 해 12월26일 북측 개성 판문역에서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 연결과 현대화 착공식을 했지만, 지난해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미북 정상회담 결렬 이후 남북 관계도 얼어붙으면서 후속 사업은 진행되지 못했다. 최근엔 남북 간 정세가 희비가 엇갈리며 어수선한 분위기다. 문재인 정부는 중간평가 격인 4·15 총선에서 압승한 데 힘입어 남북 경제협력 사업에 드라이브를 거는 모양새다. 반면 북한은 외신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이상설이 불거지는 등 어수선한 형국이다.

    정부는 동해북부선 복원이 앞으로 동해권과 금강산 지역에 대한 관광객 유입, 지역주민 교통편의 등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8년 강원연구원의 '강원도 교통 SOC(사회간접자본)사업 중장기계획'을 근거로 생산유발효과 4조7426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조9188억원, 고용유발효과 3만8910명 등으로 추정했다.

    김연철 장관은 기념사에서 "동해북부선 건설은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한반도 뉴딜 사업"이라며 "대륙과 해양을 잇는 동해안 시대를 열어 한반도 신경제 구상의 한 축인 환동해 경제권을 완성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지역 숙원사업이기도 한 이 사업을 2022년 개통하는 포항~동해 전철화사업과 2027년 개통 예정인 춘천~속초 단선전철 등의 사업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복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