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만5000명 급감… 임시·일용직, 숙박·음식업 등 직격탄대구·경북 넘어 전국으로 확산… 무급휴직등 이직자 급증
-
상용직보다 일자리가 불안정한 임시·일용직을 중심으로 충격이 확산하는 양상이다.
28일 고용노동부가 내놓은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으로 국내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총 1827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만5000명(1.2%) 줄어든 것이다. 사업체 종사자 수가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9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지난 2월 조사에서 세계금융위기 이후 최소 폭의 증가를 보인 데 이어 한 달 만에 감소로 돌아선 것으로 코로나19 영향이라는 게 노동부 설명이다.
노동자 지위별로 보면 상용직은 1555만2000명으로 지난해보다 8000명(0.1%) 줄었다. 임시·일용직은 164만8000명으로 12만4000명(7.0%), 학습지 교사 등 일정한 급여가 없는 기타 종사자는 107만8000명으로 9만3000명(7.9%) 급감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는 292만7000명으로 2만9000명(1.0%) 증가했다. 반면 300인 미만 사업체 종사자 수는 1535만1000명으로 25만4000명(1.6%) 줄었다.
코로나19로 영세·소규모 사업장에서 고용이 불안정한 비상용직이 실업 위기에 먼저 노출되고 있다는 얘기다.
산업별로는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숙박·음식업(15만3000명)과 학원 등 교육서비스업(10만7000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3만9000명), 여행업과 렌터카업을 포함한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3만8000명), 도·소매업(3만4000명) 순으로 종사자 감소 폭이 컸다.
특히 전체 종사자의 20%쯤으로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도 감소로 돌아섰다. 1년 전보다 1만1000명 줄었다. 제조업 종사자 수는 지난해 12월 8000명, 올 1월 2000명 증가했다가 지난 2월 조사에선 제자리걸음을 했다. 감소세는 뚜렷했지만, '마이너스'를 보이진 않았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서비스업뿐 아니라 제조업으로까지 여파가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
스스로 퇴직한 자발적 이직은 35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9000명(5.5%), 고용계약종료와 구조조정, 해고 등으로 말미암은 비자발적 이직자는 58만7000명으로 7만4000명(14.5%) 각각 증가했다.
무급휴직을 포함한 기타 이직은 26만5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1만6000명(78.1%) 급증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직장은 있지만, 일하지 않은 '일시휴직자' 등이 확산했다는 방증이다. 기타 이직은 숙박·음식업(3만6000명)과 교육서비스업(3만명)에서 증가 폭이 컸다.
코로나19 확산에 기업이 채용을 미루면서 채용 규모는 88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9000명(14.4%) 줄었다. 교육서비스업(6만5000명)과 숙박·음식업(4만3000명)의 채용 감소 폭이 컸다.
시·도별 종사자 감소율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했던 대구(4.2%)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부산(2.3%), 경북(1.9%), 강원(1.9%), 대전(1.7%), 경남(1.6%), 인천(1.6%), 서울(1.4%), 제주(1.1%), 충남(1.0%), 경기(0.9%) 등의 순이었다. 지난 2월 조사에서는 대구(1000명)·경북(2000명)·경남(3000명) 등 3곳에서만 종사자 수가 줄었다. 3월 들어 코로나19 확산세가 가팔라지면서 전국으로 고용 충격이 확산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