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 0.1% 올라외환위기 여진 1999년 9개월 연속 마이너스
  • ▲ ⓒ연합
    ▲ ⓒ연합
    기조적인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0%대 초반으로 하락하며 한국경제가 디플레이션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코로나19(우한 폐렴) 사태로 소득이 줄어든 이들이 늘어 수요 측면에서 물가하락 압력이 커졌다는 분석에서 나오는 우려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한해전보다 0.1% 오르는데 그쳐 1999년 12월(0.1%) 이후 20여년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원유나 농산물처럼 공급측 요인에 의해 가격이 널뛰는 품목을 빼고 산출한 물가상승률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 지표이기도 하다.

    정부는 "수요둔화에 고교 무상교육,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효과가 겹친 결과"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근원물가의 장기 추세 등을 근거로 이와 다른 분석을 내놓고 있다. 최근 5년간 근원물가 상승률을 보면 2015년 2.4%, 2016년 1.9%, 2017년 1.5%, 2018년 1.2%, 2019년 0.7% 등을 기록했다. 추세적 하락 흐름을 보인 모습이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외환위기를 겪은 1999년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바 있다.

    박석길 JP모건 본부장은 "코로나19가 디플레이션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감염병 여파에 수요가 줄어들며 앞으로 수개월 동안 근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준범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근원물가마저 하락하기 시작하면 디플레이션 징후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며 "유가나 농산물 등 공급측 요인을 빼놓고 보더라도 수요 부진에 물가 상승 압력은 낮아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면 물가 하락이 코로나19에 따른 일시적 현상인 만큼 현 상황을 디플레이션이라고 진단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

    김원식 건국대 교수는 "물가 하락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돼야 디플레이션이라고 할수 있다"며 "수요 부진이 해결되느냐 유가가 조금씩 오르고 글로벌경제가 활력을 찾느냐가 디플레이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