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초기 수면·호흡장애 동반되면 중증장애 위험도 4배 높아
  • ▲ (좌측부터) 심혈관센터 나진오, 강동오 교수, 뇌신경센터 김치경 교수. ⓒ고려대의료원
    ▲ (좌측부터) 심혈관센터 나진오, 강동오 교수, 뇌신경센터 김치경 교수. ⓒ고려대의료원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수면호흡장애가 후유장애의 주요 예측인자라는 것은 잘 알려졌지만 초기 치료 과정에서 전통적 수면다원검사를 이용한 정밀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심폐결합분석법을 기반으로 하는 신기술이 연구됐다. 

    30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심혈관센터-뇌신경센터 공동연구팀은 24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한 심폐결합분석법(cardiopulmonary coupling analysis)을 적용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수면호흡장애 동반유무를 손쉽게 조기진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심폐결합분석법은 심전도의 전기적 신호에 반영된 환자의 호흡패턴을 정밀 분석하는 검사법으로, 환자가 수면 중 호흡장애 소견을 보일 경우 ‘국소적 결합패턴(narrow-band coupling)’이라는 특징적인 분석패턴이 나타난다. 

    이에 연구팀은 뇌졸중 발생 초기 30일 이내에 시행한 수면 중 심전도 모니터링 자료에 대한 심폐결합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후유장애를 예측했다. 

    그 결과, 국소적 결합패턴을 보였던 환자들이 해당 패턴을 보이지 않았던 환자들에 비해 뇌졸중 발생 3개월 이후 중증 후유장애의 위험도가 3.98배가 높았고 후유장애에서 회복되지 않을 위험도가 1.8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전도에 반영된 수면 중 호흡장애의 지속시간이 길수록 중증 신경학적 후유장애의 위험도가 비례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진은 “심전도 기반 심폐결합분석법으로 조기진단한 수면호흡장애의 동반유무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후유장애의 중요한 예측인자임을 확인하였고, 해당 검사법은 급성기 뇌졸중 치료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시행하기 어려운 수면다원검사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수면호흡장애를 조기진단할 수 있는 정확하고 간편한 검사법으로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후유장애의 예측과 치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최근 미국 심장학회/뇌졸중학회(AHA/ASA)에서 출간하는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Stroke’ 2020년 7월 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