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진료(수술) 수가·노인주치의 신설’ 등 제도적 보완책 절실 복지-의료, 연결고리 형성 과정서 외과계 참여 필수적 ‘케어’ 중요하지만 ‘큐어’도 동시에… 다학제 접근으로 보완
  • ▲ 조준 대한노인신경외과학회장장이 건국대병원 집무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건국대병원
    ▲ 조준 대한노인신경외과학회장장이 건국대병원 집무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건국대병원
    “고령화 대응 노인 정책을 들여다보면 다소 아쉬운 부분이 많다. 케어(Care)에 집중하느라 큐어(Cure)가 등한시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지금은 노인 수술 등 외과 영역에서 제도적 지원책이 필요하다. 균형을 맞춰야 한다.”

    최근 본지와 만난 조준 대한노인신경외과학회장(건국대병원)은 치매국가책임제, 커뮤니티케어 등 정부 차원의 고령화 정책의 한계에 대해 조심스럽게 운을 뗐다. 

    그는 코로나19 확산세가 가속화되던 지난 3월 학회장 임기를 시작됐다. 당시 대놓고 학회장 취임을 알리는 것 자체가 부담스러웠기 때문에 몇 달이 흘러 기자를 만나 일련의 목표와 개선과제 등을 공개했다. 

    조 학회장은 “고령화 정책 설계 과정에서 그간 많은 배제된 것이 바로 외과의 영역이다. 학회 차원의 끊임없는 노력에 의해 치매국가책임제 등 논의과정에 참여하게 됐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코로나19가 창궐하면서 치명률이 높은 고령자는 ‘고위험군’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커졌지만 여전히 노인치료의 위험성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책이 미비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학회장으로서 그가 꺼내든 주장은 바로 ‘노인진료(수술) 수가’. ‘노인주치의’ 신설이다. 

    그는 “노인수술은 난이도가 무척 높다. 일례로 70세만 넘어가면 마취하기 힘들다. 자칫 잘못하면 사망에 이른다. 호흡기 감염 영역에서도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다. 생사와 직결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정책적 보상이 필요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형태의 제안이라는 설명이다. 이제는 노인진료를 위한 다각적 형태의 고민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 학회장은 “노인주치의제도 도입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데이케어, 커뮤니티케어 등 고령화 대응 복지 영역에서 많은 부분이 개선되고 있지만 의료로 이어지는 과정에 있어서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독거노인이 응급콜을 불렀을 때,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의료진이 근방에 존재해야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노인의학은 다학제로 가져가야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외과 영역도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돼야 하는 이유”라고 언급했다. 

    현재 노인신경외과학회는 척추, 혈관, 통증, 치매 등 분과위원회를 만들고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으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보다 안정적인 노인의학을 기틀을 만들겠다는 목표다. 

    조 학회장은 “우리는 백세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삶의 질이다. 건강한 노년을 보내야 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 일조하고 싶다. 노인 건강권 회복을 위해 경주할 것이다”라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