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서울·인천·경기 요양병원 등 종사자 16만명 일제 진단검사 전문가들 “한 번의 대규모 검사가 아닌 주 1회 정기적 검사 등 대응” 부산·경기광주·서울도봉 등 감염 취약 병원서 잇따른 추가 확산 ‘우려’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나흘째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지만, 언제든 100명대 진입이 가능한 상황이다. 특히 감염병 확산의 최종 목적지는 감염관리가 취약하고 고위험군이 모여있는 병원으로 향하고 있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잇따른 요양, 정신, 재활병원 집단감염이 발생하자 문제를 인식한 정부는 종사자 전수조사를 실시 중이지만 단기적 대책으로는 문제를 풀지 못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늘(19일)부터 수도권 지역의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정신병원 등의 종사자와 이용자 16만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일제 진단검사를 시행한다.

    서울·인천·경기 지역 요양병원에 매일 출·퇴근하는 종사자 13만명과 노인주간보호시설을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이용자 3만명이 검사 대상이다. 입원환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달 말까지 검사를 모두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검사 결과를 지켜본 뒤 필요시 전수 검사를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대규모 전수조사 실시 당일에도 기존 요양, 재활, 정신병원 추가 확진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다. 

    19일 기준 부산 북구 만덕동 소재 해뜨락요양병원에선 14명의 확진자가 추가로 발생했고, 경기도 광주시 소재 SRC재활병원에서도 8명이 추가 확진됐다. 서울시 도봉구 다나병원(정신병원)서도 2명의 확진자가 추가로 확인됐다.

    이날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기저질환을 가지신 고령층을 보호하고 있는 요양병원과 재활병원, 요양원 등에서 집단감염 사례가 보고되면서, 감염에 취약한 분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요양병원, 의료기관 등에서 확진환자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 집단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중증환자로 발전할 위험도 높다.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감염 먹이사슬 최하위, ‘정기적 검사와 지속적 모니터링’ 필수

    요양병원 등에 입소하려면, 코로나 바이러스 음성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때문에 환자를 중심으로 감염 확산이 일어나는 경우는 굉장히 제한적이다. 

    결국 일련의 집단감염 사례에서 간병인을 포함한 병원 종사자가 고위험군인 고령의 기저질환자에게 전파를 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문제는 감염이 시작되면 수십명에서 수백명까지 확진된다는 것이다. 주된 이유는 요양, 재활, 정신병원은 ‘3밀(밀접·밀집·밀폐)’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치매노인 등 입원환자의 특성 상 신속한 의사표현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로 정부가 종사자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것인데, 한 번의 단체검사로 감염확산을 막을 수 있을지에 대해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입장이다. 

    감염 확산 지역 내 요양병원 종사자는 주1회 검사를 실시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김우주 교수(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는 “올초 대구경북 유행 사례에서 보면 신천지발 유행이 확산되며 결국 요양병원 등 전파로 이어졌다. 지역사회에서 감염 통제가 안 되면 ‘먹이사슬’처럼 마지막 희생자는 요양, 재활, 정신병원 환자가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방역당국은 단순히 집단 전수조사로 해결된다는 식의 판단은 하지 말아야 한다. 유행 지역을 점검하고 그 지역 요양병원 종사자 등은 주 1회 진단검사를 실시해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진원 교수(중앙대병원 감염내과)는 “한꺼번에 조사를 실시해 확진자 여부를 단기간에 파악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이대로 끝나서는 안 된다. 누구나 언제든 감염 위험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지속적인 유행 시그널 파악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