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 설문조사 결과…20대 젊은 층 진입 비율 두드러져
  • 국민 5명 중 1명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식 등 금융투자를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 청년층의 진입 비율이 두드러졌다. 

    13일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27일부터 11월 16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만 20세 이상 64세 이하의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시대의 금융 행동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코로나19 시대의 경제적 변화를 계기로 생애 최초로 금융투자를 시작하거나 재개했다고 응답했다는 비율이 조사 대상의 19.0%였다. 

    특히 20대 청년층은 코로나19 이후로 금융투자를 개시하거나 재개한 비율이 29.0%로 다른 연령층보다 두드러졌다. 

    이에 대해 재단은 "우리나라 국민 5명 중 1명은 저축을 늘려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있으며 주가 상승 등을 투자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투자자의 58.8%가 코로나19 발병 이후 코로나19 관련주, 미국 기술주, 가상통화, 파생상품 중 하나 이상에 투자했다고 답했다. 상품별로는 코로나19 관련주가 41.9%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미국 기술주(28.6%), 파생상품(22.0%), 가상통화(15.9%)의 순이었다. 

    이들 상품에 대한 투자 시 가장 우선해서 고려되는 정보제공 매체는 ‘신문·TV’가 21.7%로 가장 높았다. 다만 1~3순위를 모두 고려할 시 주식 게시판·메신저·유튜브가 1위(61.1%)로 대부분 투자자가 이를 통해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투자자의 투자행태 이면에는 주식게시판·메신저·유튜브 등 유사투자자문업자 등이 기여하고 있어 그 운영행태나 내용에 대한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이 재단 측 지적이다.

    또한 조사대상 중 취업자·자영업자의 45.6%가 코로나19로 인한 실직·폐업을 우려했다. 미취업자 55.1%가 취업·창업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30.0%는 코로나19가 가계 재무에 미친 부정적 영향이 '향후 1~2년' 동안 지속되리라고 전망했다. '3년 이상' 지속되리라고 전망한 응답자는 13.3%, '영구적으로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8%였다. 

    재단은 "코로나19 위기하 우리나라 국민은 고용·취업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며, 가계 재무 상황에 미치는 악영향도 중·장기적으로 지속되리라 전망된다"면서 "정부는 재난지원금, 지원대출 등을 통해 국민의 소득 여건·전망 악화에 대응하되 지원이 장기화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