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대출금리 반년새 0.62%포인트 올라이달 들어 신한·농협 등 주요 시중은행 주담대 금리 줄상승지난달 말 은행 가계 빚 1000조원 첫 돌파…이자 부담 우려 커져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지난해 '빚투(빚내서 투자)·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아 투자)'로 주식, 부동산 투자가 늘면서 사상 최초로 은행권 가계 대출이 지난달 말 1000조원을 돌파했다. 여기에 은행의 대출금리까지 가파르게 뛰고 있어 이로 인한 이자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지난 11일 현재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61∼3.68% 수준으로, 은행권의 가계 대출 금리가 점점 오르고 있다.

    1.99∼3.51% 수준이던 지난해 7월 말과 비교할 때 하단이 0.62%포인트 높아졌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마찬가지 추세다. 4대 은행의 지난 11일 현재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는 연 2.52∼4.04%다. 2.25∼3.95%이던 7월 말보다 최저 금리가 0.27%포인트 올랐다. 지난달 25일(2.34∼3.95%)과 비교하면 불과 2주 만에 최저 금리가 0.18%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이달 들어 은행들은 주택담보 대출 금리를 줄줄이 올리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 5일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모두 0.2%포인트씩 인상했다.

    NH농협은행은 지난 8일부터 가계 주택담보대출 우대금리를 연 0.3%포인트씩 인하했고, 신규 대출자에게 제공하던 연 0.2%포인트 우대금리를 아예 없앴다. 단기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을 선택할 때 적용하던 우대금리를 0.1%포인트 내리는 대신 전세자금대출 우대금리는 재원을 고려해 최대 0.1%포인트 인상했다.

    우리은행도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은행채 금리 상승 등 은행이 자금을 조달하는 비용이 늘어났고, 금융당국의 대출 조이기 규제로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깎은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가 지난해 7월 말 0.761%에서 지난 11일 기준 0.885%로 6개월여 만에 0.124%포인트나 높아졌다. 

    또한 지난해 말 은행들은 앞다퉈 금융당국의 규제에 발맞춰 우대금리를 0.5%포인트 이상 줄였다.

    주택담보대출 변동 금리는 국내 8개 시중은행의 예·적금, 은행채 등의 금리 변동을 반영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주로 따르는데, 은행권이 2월에 적용한 코픽스(1월 기준)는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0.86%로 작년 7월 0.81%보다 0.05%포인트 높다.

    더욱이 문제는 가계 부채 규모가 급증한 상황이란 점이다. 가계 부채 규모가 급증한 상황에서 대출 금리가 상승하면 빚을 늘린 취약계층 등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된다.

    은행에서 빌린 가계 빚은 지난달 말 1000조원을 처음 돌파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03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733조3000억원이었고, 신용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타대출 잔액은 268조9000억원이었다.

    지난 한 해 동안만 가계 대출이 100조원 넘게 불어나는 등 증가 속도가 매우 가파르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88조9000억원으로 집계돼 1년 전보다 100조5000억원 늘어났다. 이는 2004년 통계 집계 이래 최대 증가폭이다.

    1년 새 주택담보대출은 68조3000억원, 신용대출이 대부분인 기타대출은 32조4000억원이 각각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