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183만원 감면 내년 이후까지 全주기적 친환경성… '하이브리드카 > 전기차'그랜저-쏘렌토 등 라인업 탄탄
  • ▲ 싼타페 ⓒ현대자동차
    ▲ 싼타페 ⓒ현대자동차
    연말 일몰이 도래하는 하이브리드카 세제 혜택이 연장된다. 충전 시설이 부족해 당장 보급 대수를 늘리기 어려운 전기자동차 대신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판단에서다.

    전동화(전기 구동력 활용) 흐름 속에 신차 출시까지 예고되면서 또 한 번의 성장이 기대된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연 12만대씩 하이브리드카를 파는 현대차·기아가 가장 직접적인 수혜를 볼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 28일 발표한 ‘2021년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서 친환경차 관련 세제 혜택 연장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제외 여부를 놓고 논란이 됐던 하이브리드카의 구매 시 세제 지원을 내년 이후까지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미래 차 산업 육성과 보급 확대를 위해서다.

    지금까지는 하이브리드카를 사면 개별소비세 최대 100만원과 취득세 40만원, 교육세, 부가세 등을 합쳐 183만원까지 세금 감면이 가능하다. 이 같은 세제 혜택은 올해 말 일몰 예정이었다.

    업계는 세제 지원 중단이 시기상조라고 입을 모았다. 오히려 취득세 감면 한도를 늘리고, 세제 혜택 기간을 3년 이상 연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계산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하이브리드카는 배터리와 전기 모터 등을 사용해 내연기관과 전기차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한다”며 “산업 생태계 부담을 최소화하고 전기차로의 안정적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하이브리드카는 탄소중립과 미세먼지 감축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협회에 따르면 전주기적 관점에서 중형차를 10년 탄다고 가정했을 때 전기차(80kWh)는 최대 28.2t(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반면 하이브리드는 이보다 다소 낮은 27.5t(CO2-eq)로 집계됐다. 여기에 부족한 충전 시설과 긴 충전 시간, 수명이 다한 폐배터리 재활용 등을 고려하면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세제 혜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전기차보다 상품성이 검증된 하이브리드카의 성장세는 가파르다. 지난해 하이브리드카 시장 규모는 17만3000여 대로 2019년(10만4000여 대)보다 66.5% 뛰었다. 친환경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6.8%에 달한다. 구매자 10명 중 7명꼴로 하이브리드카를 골랐다는 얘기다.

    세제 지원의 수혜를 입을 곳으로는 현대차·기아가 꼽힌다. 지난해 현대차는 6만6181대, 기아는 6만2048대로 총 12만8229대의 하이브리드카(니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포함) 판매 실적을 올렸다.

    하이브리드카 중 잘 팔리는 ‘베스트셀링’ 순위 상위권도 휩쓸고 있다. 지난 한 해 그랜저 하이브리드는 3만8989대 팔려 판매 1위를 달성했다.

    그랜저 하이브리드는 지난 1~5월에도 1만1698대 팔리는 등 약진하고 있다. 기아 쏘렌토 하이브리드는 1만5976대의 판매대수를 기록했는데, 내연기관(1만7917대)과 거의 비슷할 정도다.

    현대차는 다음 달 중 싼타페 하이브리드를 내놓을 예정이다. 이 경우 ‘아반떼-쏘나타-그랜저’와 ‘코나-투싼-싼타페’로 이어지는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완성하게 된다. 기아는 향후 신형 스포티지, 미니밴 카니발 등에 하이브리드를 접목할 계획이다.

    이 밖에 르노삼성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XM3 기반의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와 재규어랜드로버, 토요타, BMW 등 수입차 회사도 전동화에 발맞춘 라인업을 꾸리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세제 지원이 줄면 그 수요는 당장 전기차가 아닌 내연기관으로 갈 것”이라며 “지속적인 내수 수요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XM3 ⓒ르노삼성자동차
    ▲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XM3 ⓒ르노삼성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