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배터리 화재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로이터, AP, CNN… 여과없이 보도정부 영문 보도자료 조차 안 내전기차 배터리와 무관한데… '리튬 배터리'로 혼선 초래
  • ▲ 화성 배터리 화재 현장ⓒ연합뉴스
    ▲ 화성 배터리 화재 현장ⓒ연합뉴스
    중국의 K-배터리 견제가 상궤를 벗어나고 있다.

    자국민이 가장 많이 숨진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까지 들먹이며 외신을 상대로 언론플레이를 펼치고 있다.

    정부 차원의 영문자료 배포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의 쩡위친 회장은 아리셀 화재 이튿날인 지난달 25일 자국에서 개최된 하계 다보스포럼에서 "한국에서 최근 배터리 화재가 발생했는데 사상자가 나왔다"며 "안전의 중요성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발언했다. 

    그는  "CATL에선 안전이 최우선"이라며 "모든 고객이 마음 놓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업계 최고 수준의 안전 기준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언뜻보면 자국의 배터리의 안전을 강조하는 모양새지만 속내는 한국산 배터리를 폄훼하려는 인식이 깔려 있다.

    문제는 이같은 쩡 회장의 발언이 여과없이 로이터, AP, CNN 등 주요 외신들에 다뤄지면서 자칫 'K-배터리 위험론'이 확신될 수 도 있다는 우려다.

    당장 배터리 업계에선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화재가 발생한 배터리는 전기차 배터리와 무관한 1차 전지(건전지) 제품인데, 이를 정부에서 국제사회에 제대로 설명하지 못해 빌미를 제공했다고 보고 있다.
  • ▲ 쩡위친 CATL 회장ⓒ미래에셋
    ▲ 쩡위친 CATL 회장ⓒ미래에셋
    먼저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경우 이번 화성 배터리 화재와 관련해 영문 보도자료를 아예 내지 않았다. 

    국제적 관심이 높았던 만큼 아리셀 공장 화재가 전기차 배터리와 무관하다는 점을 적극 해명해야 하지만 외교부의 형식적인 영문 브리핑을 제외하고 환경부,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등에서도 영문 설명 자료는 만들지 않았다.

    신중하지 못한 단어 선택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정부 부처 대부분이  국문 보도자료에서 전기차 배터리를 연상시키는 '리튬전지' 혹은 '리튬 배터리' 단어를 썼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어감이 유사한 '리튬전지', '리튬 배터리'라는 단어를 씀으로써 오해의 소지를 스스로 키웠다는 지적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리튬 배터리라고 하면 자연스럽게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연상된다"며 "애초에 영문 보도자료를 내서 '재충전 불가능 배터리(non-rechargeable battery)'라는 표현을 쓰던지 해서 선을 그어야 했다"고 아쉬워 했다. 

    산업부 외신 대변인은 "인력이 한정돼 모든 보도자료를 영문화하지 않는다"며 "통상이나, 무역이라든지 외국에서 관심이 있을만한 내용만 영문화를 하는데, 이번 그 내용(화성 배터리 화제)은 영문화를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