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이후 경기 정점도달 전망세계 경기 회복 속도 둔화 우려증시 상승 추세에 부정적 영향
  • 상장사들의 실적 개선세와 주요국의 경기 회복 속도가 2분기 이후 둔화할 것이란 '피크아웃(정점에 도달)' 전망이 제기되면서 증시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1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추정치를 제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185곳(삼성전자·LG전자·포스코는 잠정실적 반영)의 2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85.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상장사의 1분기 영업이익 증가율(126.3%)보다 낮아진 것으로 3분기(42.3%), 4분기(63.1%)에도 둔화할 것으로 점쳐진다. 이는 코로나19로 경제 전반이 충격을 받아 생긴 '기저효과'가 점점 옅어지는 데 따른 결과다.

    한국의 6월 수출은 월별 기준 역대 세 번째로 많은 548억달러로 집계된 가운데, 하반기로 갈수록 수출 증가율이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세계 경기 회복 속도가 둔화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최근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미국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60.6, 비제조업(서비스업) PMI는 60.1로 각각 전월의 61.2, 64.0보다 낮아졌다.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차이신이 발표한 6월 중국의 제조업 PMI는 51.3으로 3개월 만에 하락했다.

    지난 3월 1.7%를 넘어섰던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최근 1.3% 수준까지 내려온 데에는 채권 수급 영향에 더해 이러한 경기 회복 속도의 둔화 우려가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특히 코로나19 델타 변이가 확산하면서 경기에 대한 우려는 더 커졌다.

    일각에서는 실적 개선·경기 회복 속도의 피크 아웃이 증시 상승 추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코스피가 실적 개선세와 경기 모멘텀을 바탕으로 8개월 연속 쉼 없이 달려온 만큼 정점 도달에 대한 인식이 미칠 영향도 클 수 있다는 것.

    반면 실적 개선세 및 경기 회복 속도의 둔화가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건 아니기 때문에 증시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전망도 나오는 가운데, 피크 아웃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결국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등 유동성 이슈가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는 예상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