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로 원격근무 각광국가DNS 접속량 급증...2024년 일평균 30억건 예상"다자협력 기반의 인터넷 주소 정책 거버넌스 구축해야"
  • ▲ ⓒKISA
    ▲ ⓒKISA
    코로나19 장기화로 원격 시스템이 자리를 잡으면서 국가도메인(국가DNS) 'kr' 접속 건수가 일 평균 25억건에 달하고 있다. 급증하는 국가DNS 요청량에 대비해 국제 기준에 맞는 인터넷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6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DNS에서 처리한 일평균 데이터는 25억 2000만건으로 전년대비 16.7% 증가했다. 

    DNS(Domain Name System)란 사람이 인식하기 쉬운 도메인을 실제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가 인식할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국가도메인 질의 데이터는 PC 및 모바일 기기 등이 '.kr'로 끝나는 국가 도메인에 접속하기 위해 DNS에 도메인에 대한 인터넷주소(IP)주소를 물어보는 질의 과정에 생성되는 빅데이터다.

    국가도메인 요청량은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재택근무 등 비대면 활동 증가와 맞물려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온라인 개학을 시작한 4월부터 증가해 2020년 10월에는 사상 최고치인 일 32억 5000억 건을 기록했으며, 연 평균 질의량도 최근 10년 중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구글 등 빅테크 기업에서 발생시키는 질의는 전체 해외발 질의의 약 4분의 1을 차지했다. 지난해 9월 애플의 최신 OS 배포 이후에는 새로운 유형의 국가도메인 질의가 증가하는 등 일부 빅테크 기업이 국가도메인 질의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ISA는 향후 국가도메인 질의량이 2024년에는 일평균 30억건, 연간 1조 1000억건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빅테크 기업의 신기술 개발·도입, 디지털 대전환·비대면 서비스 확산 추세와 맞물려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한국의 경우 인터넷 주소 관련 정책을 정부가 주도하고 있다. 반면, 국제적인 인터넷 주소 관련 정책은 정부, 민간 전문가, 산업계 등 관련 이해당사자가 모두 참여하는 합의 도출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국제 기준에 맞게 인터넷 거버넌스를 개편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현행 인터넷주소정책심의위원회를 인터넷주소정책위원회로 확대 개편하고, 기업의 임직원과 비영리단체의 참여 보장 등의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것.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 초 해당 내용을 골자로 한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국내 인터넷 거버넌스에 산업계와 시민사회의 참여가 확대되고, 국제 인터넷 무대에서 한국의 목소리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준상 KISA 인터넷주소센터장은 "디지털 전환 확산, 비대면 서비스의 활성화, 사물인터넷 등 초연결 사회에 인터넷주소자원의 중요성 지속 증가하고 있다"면서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화와 각계각층의 참여를 확보한 다자협력 기반의 정책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