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통신 외치며 주가부양은 성공적연이은 통신 장애 이슈로 리더십 도마 위통신부문 투자 축소 등 '본업 외면' 경영 지적도
  • ▲ 구현모 KT 대표 ⓒKT
    ▲ 구현모 KT 대표 ⓒKT
    구현모 KT 대표의 임기 마지막 해를 남겨두고 있는 가운데, 잇따른 통신 악재로 리더십이 도마 위에 올랐다. 임기 초부터 탈통신을 외치며 주가부양이란 결실을 맺었지만, 본업을 외면한 경영이란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지난해부터 반복되는 통신 관련 이슈로 몸살을 앓고 있다. 발단은 지난해 4월 발생한 ‘KT 10기가 인터넷’ 실제 속도 논란이다. 당시 IT 유튜버 ‘잇섭’이 “KT의 10Gbps 인터넷 요금제를 쓰지만, 실제 속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100Mbps에 그친다”는 주장을 제기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이에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실태점검을 공동으로 추진했고 KT에 5억 원의 과징금과 시정명령을 내렸다.

    지난해 10월에는 전국적으로 유·무선 통신 장애가 발생했다. ‘라우팅 오류(네트워크 경로 설정 오류)’가 원인으로 지목됐으며 전국의 인터넷·모바일·전화·결제 서비스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개인은 물론, 소상공인들의 피해가 발생했다.

    접속 장애는 약 1시간 만에 해결이 됐지만, 주문이 몰리는 점심시간에 이슈가 발생하면서 음식점, 카페 등에서 손실이 발생했고 증권사 HTS 및 MTS 등에 접속할 수 없게 된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피해 규모가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KT가 추산한 보상금액은 350~400억 원에 달한다.

    가장 최근에 발생한 이슈는 IPTV 서비스 장애다. 지난 10일 올레tv에서 약 1시간가량 일부 채널의 방송 송출 장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서울, 경북, 대구, 부산 등 일부 지역의 가입자들은 KBS, MBC, SBS, EBS를 비롯해 일부 종합편성채널까지 방송 시청에 어려움을 겪었다.

    IPTV 채널 신호분배기의 전원 공급장치에서 발생한 이상이 원인으로 지목됐으며 전체 가입자 916만 명 중 최대 49만 명이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된다.

    구 대표는 신년사를 통해 “통신 인프라의 안정적인 운영은 우리의 책임이자 사명”이라며 “안전은 가장 먼저 챙겨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지만, 불과 일주일 만에 IPTV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면서 이용자들의 불신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방통위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2021년 통신분쟁조정 신청 현황’에 따르면 KT는 유·무선 모두 가장 많은 분쟁조정 신청 건수를 기록하면서 이용자들의 불만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에서는 KT의 반복되는 통신 관련 이슈의 원인으로 탈통신에 집중된 구 대표의 전략을 언급하고 있다. 실제로 구 대표는 2020년 부임 이후 ‘디지코’ 전환을 선언하면서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을 활용한 신사업의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물론, 탈통신 전략의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3분기 기준 콘텐츠 매출은 커머스·디지털 광고 사업 확대, 그룹사 재편 등으로 전년동기 대비 24.6% 증가했으며, AI·DX 전체 수익이 전년동기 대비 29.7% 성장하는 등 비통신 부문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비통신 부문의 의미 있는 성과를 바탕으로 구 대표 부임 당시 1만 원대 후반에서 2만 원대 초반을 횡보하던 KT의 주가는 현재 3만 원 선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다만, 최근 연달아 반복되는 통신 관련 이슈로 인해 본업에 대한 투자가 축소되고 있는 부분이 부각되고 있다. KT는 매년 설비투자비(CAPEX)를 지속적으로 줄여오고 있는데, 구 대표 부임 이후 CAPEX는 더욱 줄어들었다.

    3분기 기준 KT의 설비투자비는 전년동기 대비 26.4% 감소한 6007억 원을 집행했다. 누적 기준으로는 전년동기 대비 17.9% 줄어든 1조 4648억 원을 집행했다. 업계에서는 5G 품질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CAPEX가 줄어든 것이 유·무선 인터넷 장애를 유발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회사 한 관계자는 "통신대란을 일시적 실수로만 치부해서는 대책이 나올 수 없다"면서 "통신망 안정을 위한 물적, 인적 투자 강화를 통해 본질 경영에 충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