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 개최12개 외식가격 공표 등 부처 간 점검 계획 11일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 통해 리스크 점검
  •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국민들의 물가안정을 위해 가공식품과 외식가격에 대한 불법인상 감시에 나선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 참석해 "정부는 2월 소비자 생활물가 안정을 위해 모든 정책적 역량을 투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최근 우리 경제가 대내외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경기·물가·금융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소비자물가의 경우 국제유가가 90달러를 상회하고 글로벌 공급망이 차질을 빚는 등 공급측 요인에 내수회복 등 수요 견인까지 더해지면서 상방 압력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공식품과 외식 가격이 분위기에 편승해 가격 담합 등 불법 인상이나 과도한 인상이 없도록 이달중 공정거래위원회 등 부처간 점검을 할 것"이라며 "12개 외식가격 공표 등 시장 감시 노력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농축수산물은 최근 가격 상승, 수급 불안 품목을 중심으로 지난 1월 설 성수품에 대한 방출 확대 등의 수급 대응처럼 집중적으로 품목별 대응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국내 물가 안정과 경제 리스크 관리가 1분기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며 "내일 한국은행 총재 등과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재정·금융·통화당국 간 상황 인식과 정책 공조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일 회의를 통해)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정책 공조, 금융 불균형 시정 및 시장 안정, 실물시장 파급 영향, 국채시장을 포함한 채권시장 동향과 외환시장 상황 등에 대한 점검 관리를 할 것"이라며 "최근 우크라이나 상황 악화 시 비상대응계획까지 포함해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오는 3월 말에 종료 예정인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상환 유예 조치의 연장 여부와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연장 여부 등의 문제도 여러 상황을 신속히 종합 점검한 후 방침을 확정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