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등 17개 부·처·청 '국가표준시행계획' 의결세계시장 선점·기업혁신 등 4대 분야 12개 과제 시행
  • ▲ 산업통상자원부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연합뉴스
    정부가 디지털전환과 탄소중립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표준화정책에 올해 2513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산업부를 포함한 17개 부·처·청과 함께 2022년 제1회 국가표준심의회를 개최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올해 투입되는 예산은 전년대비 2.1%p 증가한 수치다. 

    17개 부·처·청은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021~2025)에 따른 세계시장 선점(311억원), 기업혁신 지원(1494억원), 국민행복(391억원), 혁신주도형 표준체계(317억원) 등 4대 분야에서 12대 중점추진과제를 추진한다.
  • ▲ 산업통상자원부 ⓒ연합뉴스
    우선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6세대 이동통신(6G) 및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등 ICT 분야 기술, 자율차 데이터 실증, 인공지능(AI) 제조플랫폼 표준모델, 바이오연료·제지 품질평가 등의 표준화를 추진한다. 

    온실가스 배출량 원격검증, 스마트 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인증 고도화 등을 통해 저탄소 기술 상용화를 지원한다.

    기업혁신을 위해 다수 인증의 원스톱 처리를 지원하고 체외진단 의료기기 국가표준(KS) 제정, 수질분야 표준물질 개발, 감염병 검사용 표준물질 보급, 스마트 정밀측정시험소 교정자동화 체계 도입 등 측정표준 선진화도 추진한다.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해선 소형 디지털 가전기기 전원 어댑터 등 생활제품의 호환성, 취약계층 의료기기, 중소규모 공연장 공기질 등의 표준화를 중점 추진한다. 또 알러지 물질 측정방법, 이차전지 통합안전관리, 범정부 공통표준용어, 시설물 디지털트윈 표준 등도 개발한다.

    이밖에 국가연구개발(R&D)-표준연계를 촉진하고 표준특허 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민군 공통 표준화, 신산업 표준·기술규제 관련 전문인력 양성도 가속화한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탄소중립이 전세계적 이슈로 부상하면서 표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국제표준 선점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며 "국가표준 주무부처로서 2022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관계부처가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표준화 정책을 통해 기업의 혁신성장과 국민의 행복한 삶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