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1일 출시된 청년희망적금 상품에 290만명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당초 예상한 수요의 8배에 달하는 수치다.
하지만 은행들은 추가 비용 등 뒷수습 부담은 사실상 본인들이 떠안게 됐다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는 모습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 비대면(앱)·대면(창구) 창구를 통해 지난달 21∼25일, 28일∼3월 4일 2주에 걸쳐 청년희망적금 신청을 받은 결과 약 290만명이 가입을 마쳤다.
이는 정부가 당초 예상한 가입 지원자(약 38만명)의 7.6배에 이르는 규모다.
저축장려금, 비과세 혜택 등을 지원하는 해당 적금이 사실상 일반 과세형 적금 상품 기준으로 10% 안팎의 금리를 받는 것과 비슷하다고 알려지면서, 200만명에 이르는 청년들이 가입 자격을 조회하는 등 과열 조짐이 나타났다.
정부는 2021년 중 최초 소득이 발생한 청년을 배려해 오는 7월께 청년희망적금 가입을 재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권은 이번 청년희망적금을 그리 반기지 않은 모양새다. 사실상 은행 입장에선 팔수록 손해가 나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청년희망적금의 금리는 기본금리 5.0%에 은행별로 최대 1.0%포인트(p)의 우대금리를 더해 결정된다. 따라서 최저 5.0%, 최고 6.0%의 금리가 적용되는데, 이는 현재 아무리 높아야 3% 안팎인 일반 예·적금 금리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은행권 대출금리가 평균 약 4% 정도인데, 적금에 6.0%의 금리를 주고 조달하면 당연히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사회공헌 차원에서 청년희망적금 사업 참여를 결정한 것인데, 가입 인원이 이렇게 당초 계획보다 많이 늘어나면 은행도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이어 "공익 차원에서 손해를 감수하면서 상품 판매에 동참한 것인데, 수요를 전혀 예측하지 못한 정부를 대신해 은행이 뒷감당하고 생색은 정부가 낸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대상 확대 등을 진행하면서 정부가 은행권과 구체적 협의없이 진행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청 이틀째(2월 22일) 당국이 '3월 4일까지 요건에 맞는 신청자는 모두 가입된다'며 대상 확대를 발표했지만, 은행권과 구체적으로 협의하거나 동의를 얻는 절차는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만, 은행들은 사회 공헌 및 젊은 고객 확보 차원에서 관련 정책에 지속 협조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