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가스·곡물' 쓰나미 체감물가 4%, 성장률 2%대 가능성'서방 VS 러시아' 대립 격화시 '수출' 타격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사태 발(發) 물가 충격이 이달 후반부터 한국에 상륙하기 시작할 전망이다.  

    국제시장에서 나타난 원유와 천연가스, 곡물가격 급등 쓰나미를 직접 체감하게 되는 것이다. 서방과 러시아의 대립이 더 격화될 경우 한국 경제의 주력 엔진인 수출마저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6일 경제계에 따르면, 학계와 시장에선 3월을 기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0%를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이 늘고 있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지난해 11월 이후 박스권(3.6∼3.8%)에 머물렀지만, 3월에는 박스권을 뚫고 4%대로 올라설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4%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1년 12월(4.2%) 이후 10년여 동안 나타난 적이 없다.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4%대 물가의 서막을 여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유가 상승 등 공급 측면의 압력에 서비스 등 수요 측면 압력이 가세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미 3% 후반대로 튀어 오른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곡물 가격 급등세가 국내에 전달되면 4%대 물가 상승은 시간 문제라는 것이다.

    국내로 들여오는 원유인 두바이유 현물 가격(싱가포르 거래소)은 4일 기준 배럴당 108.84달러를 기록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90달러 안팎이었음을 고려하면 20% 급등한 수치다.

    동북아 지역 LNG 가격 지표인 JKM은 같은 기간 100만BTU(열량단위) 당 25달러 선에서 38.65달러(4일 종가)로 50% 이상 급등했다. 밀 가격 역시 같은 기간 50% 안팎 올랐다. 최근엔 쌀 등 여타 곡물가격까지 덩달아 오르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급등한 원자재 가격이 국내 소비자들에게 직접 전달될 때까지 약 한 달의 시차를 예상한다.

    유가나 곡물 가격은 다른 상품·서비스의 원재료가 된다는 점에서 전방위적인 물가 상승을 가져올 수 있는 요인이다. 올해 연평균 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기본적으로 3% 이상이 될 것이란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물가가 '상고하저'의 흐름을 보이면서 2.2% 오를 것으로 봤지만 한국은행은 최근 올해 전망치를 3.1%로 끌어올렸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서방과 러시아 간 보복의 악순환으로 이어지면서 전 세계 교역량을 위축시킬 경우 수출 주도의 한국 경제가 다른 나라보다 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물가 상승률은 최소 3% 이상으로, 경제 성장률은 2%대 후반으로 낮아지는 상황으로 본다"면서 "정부가 지난해 말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성장률 목표치와 물가 전망치는 바꿔야 할 국면 같다"고 말했다.

    물가는 높아지는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을 경고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금융권 전문가는 "성장률이 2%대 초반까지 떨어지고 물가가 4% 정도 나오면 우리나라에도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이 올 수 있다"면서 "일본처럼 잃어버린 30년을 맞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어 "공급망 등 문제 때문에 안 그래도 전 세계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나왔는데 우크라이나 사태까지 겹치면 가능성이 더 커지게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