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닉5·EV6 해외서 연달아 수상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 개발전동화 비전, 강력한 의지가 뒷받침
  • ▲ 현대차그룹 전기차 모델들의 연이은 수상은 정의선 회장의 퍼스트 무버 전략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그룹
    ▲ 현대차그룹 전기차 모델들의 연이은 수상은 정의선 회장의 퍼스트 무버 전략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 모델들이 국제 무대에서 잇따라 수상하면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전기차 ‘퍼스트 무버(First Mover)’ 전략이 결실을 맺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5’는 13일(현지시간) ‘2022 월드카 어워즈(WCA)’에서 ‘세계 올해의 차(WCOTY)’를 비롯해 ‘세계 올해의 전기차’, ‘세계 올해의 자동차 디자인’ 등 자동차에 시상하는 6개 부문 중 3개 부문을 휩쓸었다. 지난 2월에는 기아 ‘EV6’가 ‘2022 유럽 올해의 차(ECOTY)’를 수상했다.

    이로써 현대차그룹은 ‘세계 올해의 차’와 ‘유럽 올해의 차’ 등 글로벌 3대 올해의 차 가운데 2개를 석권했다. 세계 올해의 차와 유럽 올해의 차는 북미 올해의 차(NACTOY)’와 함께 최고 권위를 지니고 있다는 평가다. 

    아이오닉5는 ▲세계 올해의 차 3개 부문 수상과 함께 ▲독일 올해의 차 ▲영국 올해의 차 ▲독일 유력 매체 ‘아우토빌트 선정 최고의 수입차’ ▲영국 자동차 전문매체 ‘오토익스프레스 선정 올해의 차’ ▲2021 IDEA 디자인상 금상 ▲2021 미국 굿디자인 어워드 운송디자인 부문 등을 차지했다.

    기아 EV6는 ▲유럽 올해의 차 ▲아일랜드 올해의 차 ▲독일 올해의 차 프리미엄 부문 1위 ▲영국 유력 매체 ‘탑기어 선정 올해의 크로스 오버’ ▲영국 자동차 전문매체 ‘왓카 선정 올해의 차 ▲2021 미국 굿디자인 어워드 운송디자인 부문 ▲2022 레드닷 어워드 제품 디자인 최우수상 및 본상 등을 수상했다.

    지난해 11월 출시된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의 전용 전기차 ’GV60‘도 ‘2022 레드닷 어워드 제품 디자인 본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 ▲ 현대차의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 모습. ⓒ현대차그룹
    ▲ 현대차의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 모습. ⓒ현대차그룹
    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분야 리더십 확보는 정 회장의 전동화 비전과 이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의지가 핵심동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정 회장은 전기차 대중화에 대비해 “내연기관차 시대에는 우리가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였지만, 전기차 시대에는 모든 업체들이 공평하게 똑같은 출발선상에 서 있다”면서 “경쟁 업체를 뛰어넘는 압도적인 성능과 가치로 전세계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가 돼야 한다”고 그룹 임직원들을 독려했다.

    또한 “전기차를 기회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새로운 시장과 산업을 선점한다는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적극적으로 바로잡고, 필요하다면 인력과 조직의 변화도 추진하자”고 강조했다.

    정 회장의 이같은 의지는 현대차그룹 최초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의 성공적 개발로 이어졌다. E-GMP는 글로벌 유수의 고성능, 고급차 브랜드들을 뛰어넘는 수준의 전용 플랫폼 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정 회장의 방향성 아래 구체화됐다.

    전용 플랫폼 개발 여부를 놓고 내부 의견이 엇갈렸을 당시 정 회장이 결단했고, 주요 단계 때마다 직접 점검했다. 특히 타 업체들이 시도하지 않은 신기술 적용을 적극 주문했다. 기존 전기차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혁신 기술을 E-GMP에 기본 탑재해 고객들에게 현대차그룹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전달해야 한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구민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는 “기존 자동차 업체 중에서 현대차그룹과 포드가 전동화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면서 입지를 넓혀나가고 있다”면서 “특히 현대차그룹은 전용 전기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내놓고 있으며, 하드웨어 분야에서 앞선 만큼 소프트웨어 분야의 향상이 과제”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