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법 국회 산자위 소위 통과…본회의 통과 무난 전망尹정부, 수소산업 글로벌 1위 육성 의지퓨얼셀, 수소충전·수소차 사업 잇단 진출
  • ▲ 두산퓨얼셀의 수소연료전지. ⓒ두산퓨얼셀
    ▲ 두산퓨얼셀의 수소연료전지. ⓒ두산퓨얼셀
    1년 가량 지연되던 수소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으면서 수소 생산부터 전기차 충전까지 수소 산업 전반으로 힘을 주고 있는 두산퓨얼셀이 수혜를 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수소 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이하 수소법)’은 지난 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기업벤처위원회 법안소위를 통과했다. 다수당인 민주당이 주도하면서 본회의 역시 통과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수소법이 통과되면 전기사업자들은 대통령령으로 정한 일정비율을 수소발전으로 채워야 한다. 공표 후 6개월의 시행기간을 감안하면 내년부터는 국내에서 공급비율제와 입찰 시장이 개설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윤석열 정부는 110대 국정과제 발표를 통해 수소산업을 탄소중립으로 가는 핵심으로 판단하고 한국 수소산업을 글로벌 1위로 육성하겠다는 정책 기조를 발표했다. 

    두산퓨얼셀은 국내 1위 수소 연료전지 생산업체로, 2018년부터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발주 시장 점유율 70%를 이어오고 있다. 때문에 향후 정부의 수소 정책이 구체화될수록 두산퓨얼셀이 전개하는 수소에너지, 수소차 사업도 함께 탄력을 받을 것이란 관측이다. 

    두산퓨얼셀은 지난해부터 수소전기차 충전사업 진출을 선언하고 수소사업 영역 확장에 나서고 있다.

    수소충전소 시장에서 활약하기 위해 두산퓨얼셀은 ‘트라이젠(Tri-gen)’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트라이젠 기술은 전국 곳곳에 퍼져있는 가스관을 통해 압축천연가스(CNG), 액화석유가스(LPG) 등을 공급 받은 후 이를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가스를 원료로 전기, 열, 수소를 모두 생산할 수 있어 트라이젠 기술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시스템은 대형탱크에 수소를 보관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존 도심에 깔린 가스관을 활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소충전소 건립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

    수소충전소 1기는 약 20억~30억원의 매출을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문재인 정부에서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 660기를 조성할 계획을 밝혔기 때문에 앞으로 10년간 1조5000억원대로 커질 전망이다.
  • ▲ 수소연료전지 생산을 위한 두산퓨얼셀 익산공장. ⓒ두산퓨얼셀
    ▲ 수소연료전지 생산을 위한 두산퓨얼셀 익산공장. ⓒ두산퓨얼셀
    ◇ 수소법, 두산퓨얼셀 주가·실적에도 영향 

    두산퓨얼셀은 발전용 수소연료전지에 이어 모빌리티용 수소연료전지 사업에도 나섰다. 

    지난달 말 두산퓨얼셀은 캐나다 연료전지기업 발라드, ㈜두산의 자회사 하이엑시엄과 함께 모빌리티용 수소연료전지(PEMFC) 시스템 개발과 양산, 수소버스 판매, 수소·전기 충전소 공급 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두산퓨얼셀은 오는 2023년 국내 수소버스 사업을 시범적으로 진행하기로 했으며, 향후 2년 내 하이엑시엄이 개발한 모빌리티용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버스를 국내에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증권업계에서는 수소법 통과에 따라 두산퓨얼셀의 실적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두산퓨얼셀이 올해 1분기 매출 512억원, 영업손실 86억원을 기록하는 등 수주 지연과 판매 부진의 영향을 받았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두산퓨얼셀의 주가하락과 실적부진은 수소법의 지연 때문이었다”며 “수소법 통과 후 입찰시장을 염두해 둔 수소 논의가 지난해부터 시작됐기 때문에, 올 해 물량은 물론 내년 이후부터의 수주도 순조롭게 확보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한 연구원은 “특히 두산퓨얼셀의 인산형 연료전지(PAFC) 기술은 청정수소를 이용한 발전이 상대적으로 용이해서 높은 선호도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청정수소 등급별 인증제와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 도입을 골자로 한 수소법 개정안은 청정수소 사용을 중장기적으로 의무화하고 이를 위한 재정 지원을 명시하고 있다. 수소발전용 천연가스 요금제 도입, 전기사업자의 수소발전량 구매 공급제, 수소발전 입찰시장 도입 등도 담고 있다. 가장 큰 논쟁 대상이었던 청정수소의 범위는 추후 시행령을 통해 구체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