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 “사망원인 4위인데 제대로 된 치료 어렵다” 경고허혈성뇌졸중 환자 20%, 첫번째 방문 병원에서 치료 못받고 전원 중중응급의료센터도 전문의 부족해 24시간 치료 불가능한 경우도
  • ▲ 대한뇌졸중학회는 1일 롯데호텔에서 병원 전단계 대응 등 뇌졸중 개선방안과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박근빈 기자
    ▲ 대한뇌졸중학회는 1일 롯데호텔에서 병원 전단계 대응 등 뇌졸중 개선방안과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박근빈 기자
    뇌졸중 치료체계의 수도권 편중현상을 없애고 안정적 수가를 기반으로 인력, 자원의 효율적 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병원 전단계 대응이 제대로 이뤄져야 생사의 갈림길에서 헤매는 환자가 줄어들 것이라는 진단이다. 

    1일 대한뇌졸중학회는 롯데호텔 서울에서 '뇌졸중치료 향상을 위한 병원 전단계 시스템과 뇌졸중센터 현황 및 방향성'에 대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뇌졸중 치료 안전망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의대 신경과)는 “뇌졸중과 같은 급성기 질환은 치료에 따라 환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다”며 “국내 사망원인 4위인데 지방에 거주한다는 이유로 적절한 치료를 받을 권리를 누리지 못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뇌졸중센터 지역 불균형은 인력·자원 부족이 원인이다. 이를 부추기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부절한 수가체계에 있다는 진단이다. 

    대표적으로 뇌졸중 집중치료실은 뇌졸중 후 환자 사망률을 21% 감소시키는 효과가 확인될 정도로 환자의 예후와 직접적인 연관을 보인다. 이에 지난 2017년 수가가 신설됐으나 턱없이 낮아 운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뇌졸중 집중치료실의 입원료는 약 13만원~15만원 정도다. 반면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병동 병실료은 6인실 일반과의 경우 17만원부터 시작해 2인실은 26만원이 넘는다. 환자의 중증도와 의료진의 대응 여부를 비교하면 집중치료실이 더 전문적인데 수가 역전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 이사는 “신경과 전문의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도 개선돼야 할 현실”이라며 “전국 163개 응급의료센터 중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센터는 113개 밖에 되지 않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뇌졸중학회는 이러한 지역편중 현상 해결을 위해서는 병원전단계 뇌졸중 환자 이송 시스템을 강화하고 중증응급의료센터 기반으로 뇌혈관질환 센터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재관류치료(급성뇌경색 환자에게 혈전용해제를 사용해 혈전을 녹이거나 기구를 뇌혈관에 삽입해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로 이송하는 비율이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병원 전단계에서 대응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강지훈 병원 전단계 위원장(서울의대 신경과)은 “지역응급의료센터는 22년 5월 기준으로 215개에 달하나 표준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는 67개뿐”이라며 “구급대원이 이송 예상병원에 뇌졸중 의심되는 환자를 사전 고지하는 비율이 98%에 달하지만 이 정보가 뇌졸중진료 의료진에게 적절하게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국적으로 응급의료센터가 운영되고 있는 것처럼 뇌졸중 치료 과정에서도 이와 같이 체계가 적용돼야 한다는 진단도 나왔다.  

    차재관 질향상위원장(동아의대 신경과)은 “응급의료서비스(EMS, Emergency Medical Service)와 뇌졸중 치료가 가능한 센터와의 네트워크 구축 및, 담당 의료기관을 전국적으로 균형감있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진료권을 기반으로 한 응급의료센터 분포 체계와 같이, 급성기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뇌졸중 센터를 전국적으로 확충하고 신경과 전문의를 배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응급의료와 외상의 경우 지난 1995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이후 5년 단위로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심뇌혈관 법률의 제정은 응급의료에 비해 약 20년 뒤졌고 전달체계의 구축도 전국에 13개 권역센터가 지정되어 있는 수준이다. 

    이조차 현재 정부의 재정지원이 줄어 들면서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증필수질환인 뇌졸중과 관련된 권역심뇌혈관센터 지원 예산은 71억으로 예산 지원이 미흡한 상황이다. 

    배희준 학회 이사장은 “뇌졸중 치료에서 ‘골든타임’은 환자의 생명과 후유장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가능한 빠르게 치료하는 것이 최우선”이라 “병원 전단계 뇌졸중 환자 이송 시스템 강화, 전국적 뇌혈관질환 센터 구축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