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사우디와 손잡은 카카오엔터·CJ ENM, 'SM 인수전' 촉각

카카오엔터, 사우디 국부펀드 6000억 투자 유치CJ ENM, 사우디 문화부와 문화 교류 협력 맞손수많은 아티스트 IP 보유 SM 눈독... 인수전 재점화 양상

입력 2023-02-07 07:30 | 수정 2023-02-07 10:17

▲ ⓒ각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엔터)와 CJ ENM이 사우디아라비아와 협력을 통해 'K-콘텐츠'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대표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SM엔터테인먼트(SM) 인수를 위한 양사 간 경쟁도 재점화될 전망이다.

7일 카카오엔터에 따르면 지난달 사우디 PIF로부터 6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PIF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이끄는 국부펀드로 대표적인 중동의 오일 머니로 꼽힌다.

CJ ENM 역시 지난해 6월 사우디 문화부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당시 바데르 빈 압둘라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왕자 겸 문화부 장관은 CJ ENM을 방문해 영화, 음악, 공연, 음식 등 다양한 분야 및 문화 교류 협력에 손을 내밀었다.

카카오엔터와 CJ ENM은 사우디를 등에 업고 중동은 물론, 전 세계로 K-콘텐츠 영역을 넓혀나가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세계적인 아티스트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한 SM을 품기 위한 눈치싸움이 본격화될 것으로 점쳐진다.

SM은 지난해 12월 31일부로 이 프로듀서의 개인회사 라이크기획과 프로듀싱 계약을 종료했다. 이에 최대 주주인 이수만 SM 총괄 프로듀서가 보유한 지분(18.73%)이 시장의 매물로 나온 상태다.

앞서 카카오엔터는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이 총괄을 직접 만나는 등 2021년부터 SM과 인수 협상을 이어왔다. 하지만 당시 약 8000억원에 달하는 몸값(이 총괄 지분)에 이견을 보이며 난항을 겪었다. 카카오엔터가 사우디로부터 6000억원의 실탄을 확보한 데 이어 싱가포르투자청(GIC)으로부터 6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인수에 여력이 생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CJ ENM도 2021년부터 음악 콘텐츠 사업 강화를 위해 SM 지분 인수 및 사업 시너지 등을 검토해 왔다. 당시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을 필두로 CJ ENM은 SM 인수 전면전에 뛰어들었다. 지난해는 이경후 CJ ENM 브랜드전략실장이 직접 이 총괄을 만나면서 인수에 불씨를 댕긴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엔터와 CJ ENM 등 콘텐츠 기업의 경쟁력은 글로벌 IP 확보에 달려있다"면서 "SM이 보유하고 있는 수많은 아티스트 IP를 확보하기 위해 열을 올리는 까닭"이라고 말했다.
신희강 기자 kpen84@newdailybiz.co.kr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자동차

크리에이티비티

금융·산업

IT·과학

오피니언

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