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용 앱 UI/UX 개선… 전국단위 정보시스템 구축지자체 보조금 정산 전산화… 부정수급 방지 등 투명성↑73개 지자체에 DRT플랫폼 제공… 지난해 운영실적 134만건
  • ▲ 현대자동차가 경기 안산시 대부도 일대에서 운행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주행 모습.ⓒ연합뉴스
    ▲ 현대자동차가 경기 안산시 대부도 일대에서 운행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주행 모습.ⓒ연합뉴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농어촌, 대중교통 취약지역 주민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해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이하 DRT) 서비스 플랫폼을 전면 개편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DRT 플랫폼 개편은 운전자용 애플리케이션(앱)과 운행관리시스템을 대상으로 사용자인터페이스(UI)/사용자경험(UX) 개선에 주력했다.

    운전자용 앱은 농어촌 지역 내 고령 운전자의 이용이 쉽도록 설계했다. 고령자의 정보격차를 줄이고자 힘썼다.

    지방자치단체 개별 시스템이 아닌 전국에서 적용 가능한 시스템 구축으로 정보시스템 운영의 효율성과 서비스 품질 향상을 꾀했다.

    또한 지자체 보조금 정산 방식을 전산화함으로써 부정수급 방지 등 예산 집행의 투명성을 제고했다. 그동안 관리가 미흡했던 운행·이용자 승하차 정보도 운전자용 앱과 바우처(NFC) 카드를 통해 전산 관리할 수 있게 했다. 바우처 카드는 승·하차 처리와 이용횟수 관리가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카드를 말한다.

    공단은 지난 2018년 7개 지자체를 시작으로 현재 73개 지자체에 DRT 플랫폼을 제공 중이다. 지난해 운영 실적은 134만 건으로 매년 이용자가 늘고 있다.
    공단은 모빌리티 서비스 확산에 발맞춰 임산부·청소년·다자녀가구 등 이용자 유형에 따른 DRT 예약·호출 서비스를 개발 중이며 올해 말 시범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권용복 공단 이사장은 "이동권의 제약을 받는 모빌리티 소외지역에 대한 대중교통 서비스가 절실하다"며 "공단은 DRT 플랫폼의 문전 서비스를 통해 벽오지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