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부실시공으로 GS건설 신용도 저하IB "본PF 전환 어렵고 금리도 높을 듯"새마을發 '뱅크런사태'로 건설업 '불똥'
-
GS건설이 시공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로 PF차환 불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GS건설이 지급보증을 제공한 미착공 브릿지론이 본PF로 전환되거나 차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GS건설이 짊어져야 할 사고부담이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업계 일각에서는 GS건설 PF부담이 새마을금고 부실이슈와 겹치면서 PF시장이 다시한번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10일 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은 사고현장에 대한 재시공만으로 5000억원안팎의 사고 수습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사고사업장에 대한 재시공을 결정하면서 공사비 상승과 입주지연에 따른 손해배상 등을 반영한 수치다.앞서 HDC현대산업개발이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사고로 재무제표에 반영한 3377억원보다 비용부담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사고 수습비용만 고려하면 GS건설이 충분히 감내 가능한 수준이다.1분기 GS건설 현금 및 현금성자산 규모는 모두 2조9822억원으로 1분기 기준 최근 10년새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안정적인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전체 차입금 3조6987억원 가운데 1년내 상환해야 하는 단기차입금 규모가 9442억원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순현금만 2조원을 보유한 셈이다.하지만 최근 시공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안전문제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신규수주나 도급계약을 맺고 있는 다른사업장으로 파문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GS건설 경우 올들어 서울 중구 '센트럴 자이' 외벽균열, '개포 프레지던스 자이' 주차장 누수, '평택 지제역 자이' 주차장 누수 등 하자사고가 연이어 발생했다.특히 PF대출도 어려워질 것이라는 분석도 잇따른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GS건설은 주택사업 관련 2조9018억원에 달하는 지급보증을 제공했고 연내 만기도래하는 금액이 1조2839억원에 이른다.정성훈 나이스신평 실장은 "과거 유사사례를 보면 신인도 하락과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의 부정적인 행정처분 전망 등으로 회사에 대한 투자심리가 악화할 수 있다"며 "부동산PF 차환에 어려움이 발생하며 회사 재무적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GS건설이 지급보증을 제공한 주요 PF사업장은 △대구 수성구 만촌동 3900억원 △부산 부산진구 부암동 1484억원 △충남 아산시 동산지구 1311억원 △대전 유성구 영계동 1310억원 △강원 원주시 단구동 1100억원 △충남 천안시 한들1로 1100억원 등이다. 모두 착공전단계 토지확보자금 조달용 브리지론으로 1년이내 만기가 돌아온다.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금융회사들이 PF대출 연체율 상승과 부실자산 증가로 PF대출에 보수적인 상황에서 GS건설 신용도 저하는 기존 브리지론 차환이나 본PF 전환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이라며 "설사 금융회사들이 GS건설 보증사업장에 PF대출을 해 준다고 하더라도 금리인상 등 조건을 더욱 까다롭게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더 큰 문제는 최근 연체율 증가 등으로 '위기설'이 나돈 새마을금고 일부지점에 사람들이 몰리는 등 '뱅크런(인출폭주)'사태가 현실화하면서 건설업계 PF문제가 또다시 수면위로 올라오고 있다는 점이다.삼성증권 자료를 보면 국내 주요건설사 7곳 PF 지급보증 규모는 총 14조4147억원으로 집계됐다. 현대건설과 GS건설·DL이앤씨·HDC현대산업개발·롯데건설은 지난해말, 대우건설과 태영건설은 지난해 3분기말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이가운데 미착공PF 지급보증액이 8조8464억원으로 전체 61.4%를 차지했다. 분양경기가 위축된 만큼 착공과 분양, 본PF 전환 등 지연으로 수익성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미착공PF 지급보증은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크다.최근 GS건설 지급보증 규모는 1조4749억원으로 롯데건설(5조7000억원), 태영건설(3조16억원), 현대건설(1조5800억원) 등에 비해 적었다.그러나 GS건설 PF 지급보증액에서 미착공PF가 차지하는 비중은 88.1%(1조3000억원)에 달했다. 이는 PF 지급보증 전액(1820억원)이 미착공물량인 DL이앤씨를 제외하면 7곳중 가장 높은 수치다. 대우건설(79.4%)과 롯데건설(75.0%), 현대건설(51.0%), 태영건설(41.0%) 비중도 적지 않은 수준이다. HDC현대산업개발만 7.0%로 한 자릿수대였다.때문에 가뜩이나 부동산 업황부진으로 아슬아슬한 상황을 이어오던 PF시장에 또다시 악재가 겹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PF대출은 물론 PF 유동화증권 차환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PF우발채무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서 차환발행에 큰 문제가 없으나 발행사 등에 대한 투자자 우려가 커지면 차환이 어려워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IB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레고랜드사태에 따른 유동성경색 국면이 정부의 유동성 지원책 등으로 다소 완화됐다"면서도 "새마을금고 사태로 PF시장을 비롯한 자금시장 경색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건설사들 우발채무 부담이 얼마나 커질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다만 앞서 장기간 호황을 누린 덕분에 상위 건설사들의 재무 여건은 아직 탄탄하고, 정부도 각종 지원책을 쏟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PF 위기가 당장 현실화할 가능성은 작다는 분석도 있다.A 증권 건설부문 애널리스트는 "지난 10년간의 호황으로 상위 건설사의 유보 현금은 역대 최대"라며 "2010년 이전에는 시공사에 집중됐던 우발채무 부담이 금융권 전반으로 분산된 것도 건설업계의 리스크를 줄이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한국기업평가도 "정부의 유동성 지원책에 힘입어 건설사의 유동화 증권 차환이 지난해 하반기보다 쉬워졌다"라며 "롯데건설-메리츠증권, 태영건설-한국투자증권의 공동펀드 조성 등 PF 우발채무에서 비중이 큰 A급 업체들의 단기물 만기구조를 장기화하는 리스크 경감 조치들이 올해 효력을 나타내고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