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판공법 민간아파트 293개단지 전수조사…188곳 이미 입주 비파괴검사·콘크리트 강도측정 병행…안전진단 최소 3개월 소요라멘구조보다 기둥 적어 강도 약화…"매너리즘이 만든 자충수"
  • ▲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현장. 사진=박정환 기자
    ▲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현장. 사진=박정환 기자
    '부실공사 포비아(공포증)'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가 무량판구조를 적용한 민간아파트 293개단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예고한 가운데 이중 일부는 지하주차장뿐 아니라 주거동에도 무량판구조를 채택한 것으로 확인돼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무량판공법으로 시공한 건설사는 '걸리면 끝장이다'라는 분위기로 긴장감마저 감돌고 있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무량판구조를 본격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한 2017년이후 지어진 민간아파트는 전국 293개단지로 이중 105개단지는 현재 공사중이며 188개단지는 이미 입주를 마쳤다. 

    국토부는 이달중 293개단지에 대한 점검일정과 방법을 공개한뒤 본격적인 전수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안전진단을 통해 철근이 몇개 빠졌고 어떤 보강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선 최소 3개월이상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우선 설계도면과 구조계산서를 분석한후 초음파로 철근이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하는 비파괴검사를 실시하고 콘크리트 강도 측정을 병행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이번 전수조사 대상인 민간아파트중에는 주거동에도 무량판구조를 사용한 곳이 일부 섞여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무량판구조는 보 없이 기둥이 직접 슬래브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기존 라멘구조보다 기둥이 적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층고가 낮아 비용절감 및 사업성 증대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국내에선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됐다.

    이 구조는 슬래브로만 하중을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기둥강도를 높여주는 보강철근을 넣어야 한다.

    보강철근은 가로와 세로로 엮여 있는 철근을 감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번 '철근누락' 사태는 이같은 보강철근이 아예 없거나 부족해 기둥 강도가 약화된 것이 핵심이다.

    정부의 전수조사 예고에 건설업계는 '패닉'에 빠졌다.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철 붕괴사고와 장마철 침수 등 건설사에 대한 신뢰도가 땅에 떨어진 상황에서 부실공사까지 적발되면 브랜드 신뢰도에 치명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전사적으로 무량판구조로 시공한 단지를 파악한뒤 설계도면을 검토하고 현장에 안전진단 인력을 파견하는 등 정신이 없는 상황"이라며 "언제, 어디서 어떤 문제가 터질지 모르기 때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중견건설 B사 관계자는 "이번 철근누락 사태는 건설사 '매너리즘'이 만들어낸 자충수"라면서도 "다만 철근누락 단지 15곳중 10곳은 설계단계부터 문제가 있었는데 시공사에만 책임이 전가되는 것 같아 억울하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