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1구역·가락프라자 수주전에 '총력' 행정처분 결정까지 '최소 3~5개월' 소요집행정지 가처분신청 1심판결까지 1년이상'1년4개월 영업정지' HDC현산, 수주활동중
-
도시정비시장이 혼전양상을 보이고 있다.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로 GS건설이 10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받자 '노량진1구역' 등 주요 재개발·재건축사업지를 중심으로 '맹탕 수주전'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일부 조합원들 사이에선 단독입찰로 유찰을 거듭하다 결국 수의계약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적지 않다.하지만 업계 시각은 사뭇 다르다. 오히려 GS건설이 영업정지를 앞두고 일감 확보를 위해 수주전에 사활을 걸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1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GS건설에 대한 10개월 영업정지를 처분을 추진키로 하면서 시공사선정을 앞둔 주택도시정비사업조합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GS건설 수주전 참여가 유력했던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은 서울 동작구 '노량진1구역(재개발)'과 송파구 '가락프라자(재건축)'다. 각 사업비만 1조원, 5000억원에 달하는 대어급 프로젝트다.애초 노량진1구역과 가락프라자는 삼성물산, 현대엔지니어링과 맞대결이 예정돼 있었다.하지만 영업정지 추진계획이 발표되면서 조합내부에서 위기감이 고조됐다. GS건설이 사업에서 손을 뗄 경우 수의계약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정비업계 한 관계자는 "도시정비사업은 입찰참여 건설사가 많을 수록 조합에 유리한 구조"라며 "건설사들간 수주경쟁이 치열해야 조합원에 유리한 사업조건을 제시하지만 수의계약으로 전환될 경우에는 시공사와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이어 "최근 지속적인 공사비 인상 탓에 새 시공사를 찾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
다만 업계에선 조합의 우려가 기우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GS건설이 실제 영업정지 처분을 받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현재 국토부는 장관직권으로 GS건설에 영업정지 8개월, 서울시에 요청해 2개월을 추가 행정처분했다. 그러나 행정처분 사항은 행정처분심의원회 청문과 심의절차를 거쳐야 한다. 최종결정이 나기까지 약 3~5개월이상 소요된다는 게 법조계 전언이다.여기에 GS건설이 법원에 집행정지 가처분신청과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하면 해당 처분효력을 정지할 수 있게돼 최대 몇년간 시간을 벌 수 있다. 보통 가처분신청을 제기하면 1심판결이 나오기까지만 1년이상이 걸린다.예컨대 HDC현대산업개발은 2021년 발생한 '광주 학동 철거건물 붕괴사고'와 관련해 총 1년4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지만 즉각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제기, 아직 수주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월 발생한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사고' 행정처분은 아직 결과도 나오지 않고 있다.정비업계 한 관계자는 "행정처분전 수주한 사업은 공사를 계속 진행할 수 있어 GS건설이 일단 행정소송으로 시간을 벌은 뒤 공격적인 수주전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며 "조합원들도 검단사고와 각종 하자논란을 계기로 GS건설이 더욱 안전관리에 집중할 것이라고 판단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최근 잇단 악재로 이미지가 다소 손상되긴 했지만 여전히 재건축·재개발시장에서 '자이파워'는 여전하다"며 "브랜드를 등에 업고 파격적인 사업조건까지 제시하면 경쟁사로선 힘든 싸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정비사업 수주나 아파트 분양에서 예상보다 타격이 적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HDC현대산업개발 경우 지난해 1월 공사중 아파트가 무너지는 초대형 악재가 터졌지만 그해 상반기에만 경기 '안양 관양현대 재건축', 서울 '노원 월계동신 재건축'을 연이어 수주하며 재기발판을 마련했다.지난해말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었던 롯데건설도 올초 서울과 경남 창원, 경기 구리 등에 분양한 단지가 흥행에 성공하며 업계 우려를 씻어냈다.또다른 정비업계 관계자는 "검단 붕괴사고 경우 사망자가 없어 파급력이 예상보다 적고 행정처분도 추후 총선과 내각교체 등으로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있다"며 "당장 정비사업 수주엔 큰 무리가 없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브랜드 신뢰 회복을 위한 자구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홍석준 한국신용평가 실장은 "공사원가 상승과 고금리 기조, 비우호적 투자심리 등 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이라며 "영업정지 처분 이슈가 장기화할 경우 리스크에 대한 재무적 대응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