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8087대 중 42.5%가 10년 이상 노후화 부적합율 2006년 14.8%→ 2022년 0.1% 역행남인순 의원 "장비 성능 연계 수가차등제 도입"
-
MRI(자기공명영상진단기), CT(전산화단층촬영장치), Mammo(유방촬영용장치) 등 고가의 특수의료장비 중 노후된 장비가 적잖음에도 품질관리 검사 결과 적합율이 99.9%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공개한 '특수의료장비 검사·영상진단료 추이'에 따르면 MRI는 2017년 3876억원에서 2022년 8307억원으로, CT는 1조1497억원에서 2022년 1조6722억원으로 각각 검사비가 증가했다.문제는 MRI, CT, Mammo 등 특수의료장비 영상품질 검사결과, 부적합 비율이 2006년 14.8%, 2007년 10.2% 수준이었으나 2017년 이후에는 0.2%, 0.1% 수준으로 적합율이 99.9%에 달해 품질검사 무용론이 대두되고 있다는 것이다.남인순 의원은 "특수의료장비 품질검사 무용론이 대두되는 이유는 검사관리와 중립적 판독을 분리하지 아니한 부적절한 경쟁구조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지난해 특수의료장비 품질관리 검사기관별 시장점유율을 살펴보면 한국영상품질관리원 24.4%, 한국의료기기기술원 31.4%, 한국의료기기평가원 44.2% 등이다.남인순 의원은 "의료계 등 현장의 의견을 파악해보니 3개 검사기관은 각각 일반 검사관리와 영상판독업무를 동시 수행하며 상호 무한경쟁을 하고 있어 기관의 수익성 측면에서 부적합판정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특히 지난 6월 말 특수의료장비 전체 설치대수 8087대 중 42.5%인 3442대가 10년 이상 사용한 노후 특수의료장비인 것으로 파악됐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남인순 의원에 제출한 '제조연한별 특수의료장비 설치 현황'에 따르면 CT의 경우 설치대수 2321대 중 10년이상 20년 미만은 34.6%인 803대, 20년이상 30년 미만은 2.3%인 53대, 심지어 30년 이상 1대, 제조시기를 알 수 없는 CT도 5대나 있었다.MRI의 경우 설치대수 1983대 중 10년 이상 20년 미만은 36.9%인 731대, 20년이상 30년 미만은 3.2%인 64대에 달했다.Mammo의 경우 설치대수 3,783대 중 10년이상 20년 미만은 35.3%인 1,335대, 20년이상 30년 미만은 11.4%인 430대, 30년 이상은 0.5%인 20대였다.남 의원은 "특수의료장비는 촬영횟수가 많아 성능의 감가상각이 심하고 수입제품이 대부분이어서 부품 수급에도 어려움을 겪어 사용기간이 10년만 지나도 타 의료장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후도가 심하다"고 지적했다.그는 "노후장비도 검사수가를 차별 없이 우대받아 노후장비 비율이 높아가는 상황에서는 수가차등제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하며 노후도가 심해지면 시장에서 자동 퇴출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