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사망 노동자 등 산재 '사각지대' 우려… "노동부와 협의해 실태파악 할 것"3D 프린터 유해성에 제2의 '가습기 살균제' 가능성…"개연성 있으면 재해 인정"
-
23일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쿠팡 하청업체 노동자의 과로사 논란 등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안전보건공단은 충분한 실태 관리를 하지 않았고, 결국 재해를 예방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집중 비판을 받았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이날 안전보건공단을 비롯한 근로복지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폴리텍 등 총 12개 노동부 산하기관에 대한 국감을 진행했다.이날 중점적으로 지적된 내용은 노동자들의 과로사 의혹과 업무로 인한 희귀병 발발 등의 재해 문제로, 관련 업무를 다루는 기관인 안전보건공단이 주 질의 대상이 됐다.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사망한 노동자의 소속사인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초기에 직접 고용을 했지만, 최근엔 위탁업체로 바꿔 특수 고용을 하고 있다"면서 "쿠팡 측은 직접 고용한 노동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사망 사고에 대해) '어쩌라는 거냐' 말하고, 정부도 노동자 신분이 아니니까 '우리 책임이 아니'라고 한다. 이런 와중에 노동자들은 계속 사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앞서 쿠팡CLS와 위탁 계약을 맺은 배송업체 소속이었던 택배기사 A씨는 이달 13일 경기도 군포시 한 빌라 4층 복도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이후 사망 원인 규명에 착수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A씨의 사인에 대해 '심장 비대'란 소견을 밝히면서 사건은 내사 종결 수순을 밟고 있다. 다만 정치권과 노동계 일각에서는 A씨의 사망이 과로사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한다.이에 안종주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은 "현재 특수 고용 종사자의 경우 산업재해 예방의 사각지대에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저희가 보호해야 할 국민의 한 사람이자 사회적인 취약계층으로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가능한 한 최대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답변했다.이 의원은 "사회적인 참사에 비해 산업안전보건공단의 안전점검과 컨설팅 등은 무관심한 수준이다. 올 9월까지 쿠팡 물류센터 등에 실시한 횟수는 14회로, 전체 사업장 452회의 3.1%에 불과하다"면서 "이렇게 끊임없이 사고가 나는 업종에 대해 어떤 대책을 세워야 할 지가 중요한 과제다. 어떻게든 과로사 하지 않는 형태로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안 이사장은 "현재까지 새벽 노동 등에 관련한 실태 조사나 연구가 없었던 게 사실"이라면서 "장시간 노동에 대한 교육이나 노동자들의 검진·상담 등 실태 파악을 해보겠다. 노동부와 협의해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지성호 국민의힘 의원은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불리는 3D 프린터의 유해성에 대해 지적했다. 해당 사건은 가습기 살균제로 인해 수천 명대의 산모·영유아·노인 등이 사망한 화학 재해를 말한다. 지난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여 간 집계된 사상자 수는 7600여 명에 달한다. 최근 3D 프린터의 주 소재에도 1급 발암물질이 나온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화학 재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그는 "오랜 기간 3D 프린터를 사용한 과학고등학교 교사 4명이 10만 명당 1명 꼴로 발생한다는 희귀병인 육종암에 걸렸고, 이중 1명은 사망했다. 다른 교사 3명은 급성 유방암과 자율신경계 이상의 질병에 걸렸다"면서 "이들이 인사혁신처에 공무상 재해 신청을 했는데 불승인 통보를 받았다. 안전보건공단이 과학적인 연구 결과가 부족하고, 의학적인 근거가 불충분해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고 결론 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지 의원은 "현행 직업성 암은 인과관계를 피해자들이 입증해야 하는 구조다. 의사와 과학자를 모아 연구하고 데이터를 모으는 일을 개인이 어떻게 하냐"면서 "유가족들이 원통해 하지 않도록 실태조사와 집단 역학조사 등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해 가습기 살균제와 같은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게 안전보건공단의 존재 이유가 아니냐"고 꼬집었다.안 이사장은 "3D 프린터로 인한 산재나 질병 발생 문제는 우리 사회가 새로 직면하고 있는 문제 가운데 하나"라면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 문제에 대해서도 오랫동안 연구해 왔다. 확실한 인과관계가 없더라도 개연성이 있으면 어느 정도 인정해 주는 식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
노동부의 또 다른 산하기관인 근로복지공단을 향해서는 산재 신청이 가장 많은 근골격계 질환의 업무상 질병 처리 지연에 대한 질타가 나왔다.이은주 정의당 의원은 "최근 10년간 산재 신청이 늘어난 대표적인 질병인 근골격계 질환은 2014년 5639건에서 지난해 1만2549건으로 2.2배 증가했다. 문제는 신청은 급증하는데 반해 처리 기간이 길어서 피해자들이 적시에 보상과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이라면서 "근골격계 질환은 2014년 당시 산재 처리에 66.9일이 소요됐는데, 올해는 133.7일로 2배 이상 늘었다"고 따져 물었다.박종길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은 "특별 진찰이란 부분을 전문가에게 맡기는데 이 부분에서 시간이 굉장히 많이 소요된다. 역학조사에서도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면서 "저희들이 개선을 해야 하는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