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하나, 약진… "외형 확장"신한·삼성, 제자리… "리스크 관리""경영진 판단 따라 대응 달라"회원수 점유율은 변동없어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최근 고금리가 지속되는 상황속에서 신용카드사들이 외형 확장과 리스크 관리의 갈림길에서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신한·삼성카드 등 일부 카드사는 판촉을 줄이는 등 위기 대응에 나서고 있는 반면 현대·하나카드 등은 기회라고 보고 시장 점유율 확대에 주력하고 있는 모습이다. 지금의 선택이 향후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9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롯데‧우리‧하나‧NH·BC카드)의 개인 신용판매 취급액은 총 57조5263억원으로 전달보다 2.5% 늘었다.

    카드사별로 보면 신한카드의 개인 신용판매액이 11조9942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1.6% 증가하며 선두를 지켰다. 다만 시장 점유율(M/S)은 9월 19.02%에서 10월 18.89%로 0.13%포인트(P) 줄었다.

    이어 현대카드가 11조9억원으로 6.1% 늘며 시장점유율 17.32%로 2위를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현대카드가 2위를 차지한 건 6년여 만의 일로, 시장점유율이 전달(16.71%)보다 0.61%나 늘었다.

    이어 삼성카드(17.13%), KB국민카드(14.57%), 롯데카드(9.00%), 우리카드(7.05%), 하나카드(6.25%), NH농협카드(7.15%), BC카드(2.64%) 등의 순이었다.

    통상 개인 신판 취급액은 회원 가입수와 함께 시장점유율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한다. 이 때문에 개인 신판 취급액이 증가했다는 건 공격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외형 확대을 꾀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현대카드와 함께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 곳은 하나카드였다. 하나카드의 개인 신용판매액은 3조9668억원으로 전달보다 8.2%나 늘며 점유율도 0.33%p나 올랐다. 통상 카드업계에서 시장점유율을 1% 올리려면 수천억원의 마케팅 비용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번 점유율 변동에는 마케팅 비용을 새로 투입했다기보다는 다른 카드사들이 판촉을 줄이면서 반사이익을 본 측면이 크다. 최근 들어 조달금리가 오르면서 역마진 우려가 커지자 일부 카드사들은 캐시백, 무이자 할부 혜택 등을 줄이며 판촉을 줄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신한카드는 자동차 할부 캐시백을 지난 9월 1.0%에서 지난달 0.8%로 줄였다. 삼성카드도 같은 기간 1.0%에서 0.7%로 낮췄고 롯데카드는 0.5%로 절반 수준으로 줄였다. 

    반면 하나카드는 지난 9월에도 업계 최고 수준이던 1.1%의 캐시백 비율을 10월에도 그대로 유지했다. 현대카드도 0.8%의 캐시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게다가 현대카드는 모그룹인 현대기아차를 캡티브 시장으로 보유하고 있어 자동차 할부 시장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대부분의 카드사가 조달금리가 오르면서 건전성 관리와 수익성 확보 차원에서 출혈경쟁을 줄이려고 혜택을 축소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경쟁 카드사들이 혜택을 줄이니 그대로 유지만해도 반사이익을 보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 ▲ 신용카드 개인 신용판매 회원수 점유율.ⓒ여신금융협회
    ▲ 신용카드 개인 신용판매 회원수 점유율.ⓒ여신금융협회
    이는 카드업계 대표적인 무수익·저수익 업종인 세금 납부나 4대 보험료 납부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한·삼성·KB·롯데카드 등이 수익이 적다보니 무이자 할부혜택을 중단한 것과 달리 현대카드는 3개월 무이자 혜택을 유지해 점유율 확대에 일조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납부와 맞물려 취급고가 증가했다는 것이다.

    시장점유율을 판단하는 또다른 기준인 개인 신용판매 회원수 점유율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점도 이를 잘 보여준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8개 전업 카드사의 개인 신용판매 회원수는 5572만3000명으로 전달(5579만4000명)에 비해 1.3% 가량 줄었다.

    같은 기간 카드사별 점유율은 신한카드(20.0%), 삼성카드(17.9%), KB국민카드(16.6%) 등이 변동없이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고 현대카드가 16.4%에서 16.6%로 다소 올랐다. 하나카드도 7.5%에서 7.6%로 0.1%p 증가하는데 그쳤다.

    한편 시장점유율 등 외형성장에 집중한 경영전략이 실제 회사의 순이익과 비례하지 않는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실제 지난 3분기 현대카드의 당기순이익은 685억원으로 전년 동기(521억원) 대비 31.5%(164억원) 증가했다.

    이에 대해 현대카드 관계자는 "10여년 전부터 데이터 사이언스와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분야에 대해 대규모 투자를 해오고 있어 순이익이 타사보다 적은 면이 있다“"며 "이렇게 투자해온 데이터 사이언스와 AI가 전 사업 영역에 적용되면서 취급액 및 연체율, 탈회율 등에서 성과가 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신한카드와 삼성카드의 3분기 순이익은 각각 1522억원과 1395억원으로, 현대카드의 2배가 넘는다. 현대카드보다 점유율이 낮은 KB국민카드조차 현대카드보다 순이익이 110억원 많은 상황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카드업계 전반적으로 자산건전성을 집중 관리하고 무이자 할부 혜택 축소를 통한 지출 비용 절감, 연체율 관리 등에 주력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투자를 통한 외형확대나 내실경영 등은 각 회사의 상황과 경영진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