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억4772만 → 5억2727만원'전년比 3.7%↓… 주택 자산 10% 급감가구 부채 9186만원, 0.2%↑
  • ▲ ⓒ통계청
    ▲ ⓒ통계청
    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가구 평균 자산이 2000만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평균 부채의 경우 고금리 영향으로 역대 최저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원으로 1년 전보다 3.7% 감소했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 354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줄었다. 집값 하락 영향이 컸다. 금융자산이 1억 2587만원으로 3.8% 증가했지만, 실물자산은 4억 140만원으로 5.9% 감소했다. 특히 부동산 중 거주 주택 자산이 무려 10.0% 감소했다.

    우리나라 가계 자산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2년 통계 작성 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통계 작성 후 처음으로 자산이 감소했다"며 "2021∼2022년 높은 자산 증가율에 따른 기저요인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이 23.9%, 실물자산이 76.1%를 차지해 금융자산 구성비가 전년 대비 1.7%p 늘어났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 452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40대(5억 6122만원), 60대 이상(5억 4836만원), 39세 이하(3억 3615만원) 순이었다.

    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1억 7458만원으로 1분위 가구(1억 7287만원)의 6.8배였으며, 순자산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5억 6085만원으로 순자산 1분위 가구(3956만원)의 39배에 달했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86만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0.2% 소폭 증가했다.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부채 역시 통계 작성 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금융부채는 6694만원으로 작년보다 1.6% 줄었고, 임대보증금은 2492만원으로 5.3% 증가했다. 부채가 있는 가구 비율은 62.1%로 작년보다 1.3%p 감소했다.

    특히 금융부채 보유 가구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가 67.6%로 전년에 비해 3.2%p 증가했다.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도 5.5%로 작년보다 0.8%p 늘어났다. 고금리 장기화로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소득 5분위별로는 소득 1분위 평균 부채가 2004만원으로 작년(1633만원)보다 22.7% 증가했다. 2013년(26.0%) 이후 증가폭이 가장 컸다. 2분위(4432만원)와 3분위(7443만원)는 각각 3.7%, 3.0% 줄었고 4분위(1억 1417만원)와 5분위(2억 634만원)는 각각 0.3%, 0.4% 늘었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40대 부채가 1억 253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50대(1억 715만원), 39세 이하(9937만원), 60대(6206만원), 29세 이하(4708만원)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