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KT·LGU+ 올 1분기 월 3만원대 5G 요금제 출시정부 정책 일환, 요금제 세분화로 소비자 선택권 강화이통사 5G 저가 구간 설계로 ARPU 하락 불가피저가요금제 앞세운 알뜰폰, 이통사와 경쟁 부담"사업자별 특성에 맞는 요금제 체계 구축해야"
  • ▲ ⓒ뉴데일리 DB
    ▲ ⓒ뉴데일리 DB
    국내 이동통신사와 알뜰폰 업계가 올해 1분기 출시하는 3만원대 5세대 이동통신(5G) 요금제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이통사는 수익성 감소를, 알뜰폰 사업자는 경쟁력 하락을 우려하고 있는 것.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통신사와 정부는 협의를 통해 현재 4만원대 중반인 5G 요금제 최저 구간을 3만원대로 낮췄다. 이와 함께 30GB 이하 소량 요금제도 제공량에 따라 세분화하고, 5G-LTE 단말기에 상관없이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기존보다 30∼40% 저렴한 알뜰폰 5G 요금제 출시도 유도한다. 단말기 지원금을 받지 않는 대신 25% 통신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선택약정 할인제도도 1년만에 해지할 수 있게 된다. 정부와의 협의 결과로 삼성 등 제조사는 30만∼80만원대 단말기를 올 상반기에 3∼4종 각각 출시할 계획이다.

    정부는 요금제와 단말기 선택권을 대폭 확대하고, 사용량에 부합하는 요금 체계로 개편해 국민의 통신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LG유플러스는 월 3만원대 5G 요금제 '너겟'을 선보인 바 있으며 SK텔레콤과 KT도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이 같은 요금제 인하 정책에 근심이 가득하다. 

    우선 이통사는 이미 5G 중간요금제가 다수 출시된 상황에서 3만원대 요금제까지 출시하는 게 부담스러워 하는 모양새다. 이동통신 부문 수익 지표이자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입자당평균매출(ARPU) 하락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알뜰폰 사업자들도 이통사들의 요금제 구간이 넓어지는 것에 대해 걱정하는 분위기다. 저렴한 가격으로 승부를 보는 알뜰폰 업계 특성상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것. 특히 대부분 LTE 요금제로 설계된 알뜰폰이 같은 가격으로 이통사의 5G 요금제와 경쟁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자칫 출혈경쟁으로 제 살 깎아 먹는 형국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정부의 무리한 시장 개입이 오히려 생태계를 해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통사의 경우 차세대 6G 요금제를 위한 저변을 깔아주고, 알뜰폰은 도매대가 산정방식 등의 근본적인 체계가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사업자별 특성에 맞는 요금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선행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총선을 앞두고 보여주기식 정책으로 변질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사업자들의 자금 여력 및 투자 계획 등을 고려한 규제가 이뤄지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업계의 외면을 받는 요금제 도입은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