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상위국 선두서 3위까지 하락사드 보복 이전 10%서 하락세 가팔라져
-
중국의 전체 수입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6%대 초반까지 낮아지며 입지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중국의 산업 경쟁력 강화로 상호 보완성이 강했던 한중 교역관계가 협력·경합이 공존하는 복합적 관계로 변모하고 있는 데다 글로벌 IT 시황 부진이라는 단기 경기 요인까지 더해져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전문가들은 중국이 상당 기간 한국의 최대 수출국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반도체를 제외한 주요 상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혁신에 주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28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전체 수입에서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6.3%로 전년의 7.4%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이는 1992년 한중수교 이듬해인 1993년(5.2%) 이후 3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중국의 상위 수입국 순위에서도 한국은 2022년 대만에 이어 2위였지만, 지난해 대만(7.8%)과 미국(6.5%)에 이은 3위로 한 계단 더 내려갔다.중국 세관당국인 해관총서에 따르면 중국의 작년 수입은 2조5568억 달러(한화 약 3400조원)로 전년보다 5.5% 감소했다.부동산 위축 등으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 경기 회복이 늦어져 중국 전체 수입 시장이 위축된 데 따른 것이다.문제는 이 과정에서 한국이 상대적으로 심한 타격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실제로 작년 중국의 대(對)한국 수입(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율은 18.7%로,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대만(15.4%), 미국(6.8%), 일본(12.9%) 등 주요 비교 국가·지역보다 감소율이 높다.유럽연합(EU)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입 시장인 중국에서 한국의 입지는 작아지는 추세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다.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 수입 시장에서 한국은 오랜 기간 10% 안팎의 비중을 차지했다. 2013∼2019년까지는 7년 연속 ‘최대 수입국’ 지위를 유지했다.하지만 ‘중국제조 2025’로 상징되는 중국의 급속한 산업 경쟁력 강화 흐름 속에서 반도체와 일부 첨단 디스플레이 제품을 제외하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자동차, 석유화학 등 여러 주력 제품 분야에서 한국 제품의 중국 시장 내 위상이 약화했다.여기에 2017년 ‘사드 보복’도 이런 흐름을 가속하는 데 일조했다는 평가다.사드 보복 직전인 2016년 중국 수입 시장에서 한국 비중은 10.4%였다. 하지만 2017년 9.9%, 2018년 9.7%, 2019년 8.4%, 2020년 8.4%, 2021년 8.0%, 2022년 7.4%, 2023년 6.3%로 하락세가 가팔라졌다.2013년까지 중국 시장 점유율 20%대로 1위이던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에 밀려 중국 시장에서 존재감이 희미해진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정만기 무역협회 부회장은 “중국이 아무리 저성장의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해도 연간 5%의 경제 성장만 꾸준히 해도 매해 우리나라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새 시장이 형성돼 중국을 대체할 시장은 없다”며 “미중 경쟁의 영향을 받는 민감 분야를 빼도 일반 분야에서는 고급화와 차별화로 시장을 열고 근본적으로는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혁신에 매진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