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기술 활용해 붕괴위험 등 실시간 위험 감지 체계 구축스마트횡단보도·자동원격 출입 차단시설 설치 등 추진
  •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뉴데일리DB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뉴데일리DB
    정부가 기후변화 등 각종 재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지원을 위해 756억원을 투입한다.

    행정안전부는 21일 재난·안전 사업을 정책사업으로 발굴·선정해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 765억원을 지자체에 지원한다고 밝혔다.

    재난안전 정책사업은 지자체의 재난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지자체가 필요로 하는 사업을 대상으로 필요성·효과성·시급성 등을 종합 검토해 선정했다.

    이번 재난안전 정책사업에선 ▲과학적 위험 예측·전달 ▲생활 안전망 구축 ▲예방 인프라 구축 ▲사회재난 피해저감 등 4개 분야에 지원한다.

    과학적 위험 예측·전달 분야에는 92억원이 지원된다.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급경사지와 저수지 상시 계측관리체계를 통해 실시간 위험을 감지한다. 12억원을 투입해 드론 등을 활용한 급경사지 안전관리 시스템 등 신기술을 개발해 재난위험 요인을 예방한다.

    어린이, 노약자 등의 교통안전 확보를 위한 공원, 둘레길, 주택가 등 범죄취약지역에 고화질 CCTV를 확충하기 위해 81억원을 들여 생활 안전망을 구축한다. 19억원을 투입해 스마트 횡단보도 신규 설치도 지원한다. 외에도 안전사각지대 내 다목적 CCTV 설치에 70억원, 교통사고 다발지역 정비에 6억원, 마을주민 보호구간 정비에 34억원, 보행자 우선도로 정비에 30억원 등을 투입한다.

    집중 호우 등 자연재난 예방 인프라 구축에도 힘쓴다. 침수 시 자동 원격 작동하는 출입 차단시설 설치에 100억원을 들이며, 주거지 등 생활권과 인접한 소하천 대상으로 제방 신설 및 보수·보강과 하천 유로 확장 등을 위한 정비사업에 100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공공시널 내진보강, 소교량 정비,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에도 175억원을 쏟는다.

    공공시설 화재나 유해화학물질 누출 등 대규모 피해가 예상되는 사회재난 피해저감 사업에 30억원을 투입하며, 산불 예방 인프라 구축에도 16억원을 투입한다.

    이상민 장관은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ICT 등 첨단기술을 통한 지자체의 재난관리역량 강화가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행정안전부는 재난관리 총괄부처로서 지자체의 재난 예방과 안전관리 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특교세를 적기에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