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OTT 4사 대표와 취임 이후 첫 회동사업자들 경쟁 어려움 토로, 추가지원 요청세액공제 지원 거론, 요금제 개편 당부
  • ▲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위원회
    김홍일 방통위원장이 국내 OTT 업계 간담회서 콘텐츠 제작과 해외 진출 지원 등 ‘최소규제 최대진흥’에 기반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방통위는 28일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왓챠 등 국내 OTT 4개 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산업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사업자 대표 간담회는 지난해 11월 이후 약 6개월만으로, 김홍일 방통위원장이 4사 대표와 만난 것은 처음이다.

    당시는 쿠팡플레이와 왓챠 대신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관계자가 참석한 바 있다. 콘텐츠 제작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한편, 정책변화와 요금제 차원에서 이용자 불편을 막아달라는 내용이 주로 다뤄졌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번보다 국내 OTT 4사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데 집중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실적이 정확하게 공개되지 않는 쿠팡플레이를 제외하고 국내 OTT는 모두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등 해외 사업자들의 콘텐츠 투자금액이 늘어나면서 제작 환경도 악화되는 추세다.

    김홍일 방통위원장은 간담회에 앞서 인사말을 통해 국내 OTT가 K-콘텐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며 OTT 대표들을 독려했다.

    김 위원장은 “국내 OTT가 콘텐츠의 양적, 질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면서 국민들의 삶의 질도 향상됐다고 생각한다”며 “산업 성장기를 지나 경쟁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거대 기업과 경쟁하는 국내 사업자들이 어려운 경영환경에서도 양질의 콘텐츠 제작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온 점에 대해 감사를 표한다”고 언급했다.

    사업자들은 투자를 지속 강화하겠다고 화답하면서도 재정난 극복을 위해 미디어 전반에 대한 규제체계 정비를 요청했다. 아직 산업 전반의 성장이 더 필요한 만큼 규제 시기를 늦춰달라는 취지다. 해외진출에 대해서도 더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특히 OTT에 대한 최소규제 최대진흥 원칙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OTT 업체 대표들은 간담회 자리에서 통합 미디어법 등 규제환경에 놓이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방통위도 방송과 동일하게 규제하려는 생각은 없다는 의견을 피력했다는 전언이다.

    규제완화와 투자진흥을 위한 정책적 지원으로는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세액공제가 거론됐다. 넷플릭스 등 거대 OTT 기업들과 경쟁에서 어려움을 토로하며, 해외 진출 차원에서 콘텐츠 확보를 위한 추가 지원이 가능한지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는 OTT 정책방향을 사업자들에게 설명하는 한편, 글로벌 네트워크 확보와 해외 진출지원 등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 사업자들에는 요금제 개편에 있어서 국민들이 불편함을 겪지않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김홍일 방통위원장은 “방통위는 국내 OTT 산업 발전을 중요 정책 목표 중 하나로서 지원하고 있다”며 “미디어 통합법제는 최소규제 원칙하에 사업자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서 합리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