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랭킹 알고리즘 조작·구매후기 의혹내달 한번더 전원회의 … 다음달 중 결정 나올 듯
  • ▲ 공정거래위원회ⓒ뉴데일리DB
    ▲ 공정거래위원회ⓒ뉴데일리DB
    자체브랜드(PB) 상품을 검색 순위 상단에 올리기 위해 알고리즘을 조작했다는 혐의를 받는 쿠팡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의가 시작된다. 의혹의 사실관계를 두고 공정위와 쿠팡의 입장이 엇갈려 결과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29일 공정위에 따르면 이날 오후 전원회의를 열고 쿠팡과 자회사 씨피엘비(CPLB)의 부당한 고객유인행위과 불공정거래에 관해 심의한다.

    씨피엘비는 쿠팡의 PB상품 제조 자회사로 곰곰(식료품)과 탐사·코멧(공산품 등) 등 10가지 이상의 브랜드를 보유 중이다.

    전원회의는 공정위원장과 부위원장, 상임위원, 비상임위원 등 위원 9명 전원으로 구성하는 회의를 말한다. 전원회의 심의를 종료하면 위원들은 양측의 주장을 참고해 피심인에 대한 제재 여부를 논의한다.

    이번 회의의 안건의 핵심은 쿠팡이 상품 검색 순위 알고리즘을 조정해 애플 아이폰 등 직매입 상품과 PB상품의 검색 순위를 상위에 고정 노출했는지가 쟁점이다.

    쿠팡이 자의적으로 알고리즘을 운영했다면 독점규제와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서 금지한 위계에 의한 고객 유인행위에 해당한다고 것이 공정위 시각이다.

    한기정 공정위원장은 지난달 방송사 인터뷰를 통해 "쿠팡이 PB상품 관련해 임직원에게 구매 후기를 작성케 해 검색 순위 상단에 올라오도록 한 자사 우대행위에 대해 곧 전원회의에서 다루게 될 예정"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동시에 쿠팡은 일반 소비자가 작성한 것처럼 느껴지도록 직원들에게 상품평을 작성시켰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는 쿠팡이 2021년 7월쯤부터 직원들에게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PB상품에 대한 리뷰를 작성하도록 했다며 2022년 3월 공정위에 신고했다. 이 같은 혐의가 입증되면 표시광고법과 공정거래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다.

    공정위는 이날과 다음달 5일 두 차례에 걸쳐 전원회의를 열어 쿠팡에 대한 제재 여부 등을 다음달 중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한 위원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쿠팡에 대한 심의는 올 상반기 중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한편 쿠팡은 제기된 의혹을 정면 반박하고 있다. 쿠팡 관계자는 "PB를 제조하는 90%는 중소업체로, 쿠팡은 대기업의 시장 장악으로 생존이 어려운 우수한 중소기업의 PB상품을 소개하기 위해 투명하고 적법하게 쿠팡 체험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고객들에게 분명하게 고지하고 있다"면서 "전원회의를 통해 상기 사실관계를 밝히고 적극 소명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