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대·국립대 등서 28.6% 무전공으로 선발무전공 선발 인원, 지난해보다 4배 이상↑무전공 관련 부작용·역기능 가능성 고개 들어
  • ▲ 지난해 12월11일 오후 서울 동작구 숭실대학교에서 열린 2024 대입 정시모집 대비 학생·학부모 대상 대입 설명회를 찾은 학생과 학부모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뉴시스
    ▲ 지난해 12월11일 오후 서울 동작구 숭실대학교에서 열린 2024 대입 정시모집 대비 학생·학부모 대상 대입 설명회를 찾은 학생과 학부모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뉴시스
    2025학년도 입시부터 수도권대 및 국립대 73곳에서 전체 신입생 중 28.6%는 무전공(자율전공제)으로 선발한다.

    교육부는 30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주요 사항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모집단계 혁신 대상인 수도권 대학(51곳)과 전국 국·공립대(22곳) 총 73곳의 무전공 선발 비율을 28.6%(3만7935명)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지난해 무전공 선발 비율이 6.6%인 점을 감안하면 4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73개 대학 중 수도권 대학 51곳은 전체 모집인원 중 무전공 선발 비율이 29.5%(2만5648명)를 차지한다. 국립대 22곳은 26.8%(1만2287명)의 인원을 무전공으로 선발한다.

    무전공은 학과와 전공 구분 없이 대학에 입학한 뒤 2학년 때 세부 전공을 선택하는 입학 방식이다.

    앞서 교육부는 '학과·전공 간 벽 허물기'를 통해 대학 혁신을 유도하는 차원에서 자율전공제를 적극 추진해 왔다.

    교육부는 지난 1월 국고 일반재정지원사업인 2024학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 및 국립대학 육성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 사업엔 '자유전공학부' 또는 '광역 선발' 등 무전공 입학정원을 확대하는 대학에 재정 지원 인센티브와 연계된 가산점을 주는 방안이 담겼다.

    무전공 입학은 '유형1'과 '유형2'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유형1은 신입생이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 후 원하는 전공(보건·의료, 사범계열 제외)을 정하는 방식이다. 유형2는 계열·학부 등 광역 단위로 모집한 뒤 원하는 전공을 택하거나 학과별 정원의 150% 이상 범위에서 전공을 선택하는 유형이다.

    대학들은 이 가운데 유형1로 1만4844명(11.2%)을, 유형2로 2만3091명(17.4%)을 뽑는다.

    정부의 권고에 따라 대학들이 무전공 모집인원 확대에 나서면서 부작용과 역기능 등이 우려되고 있다.

    무전공 전형 확대 취지는 대학 졸업생이 전공과 다른 직장을 선택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대학 교육을 수요자 중심으로 혁신하겠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이 넓어질 수 있지만, 경영학과나 컴퓨터공학과 같은 이른바 '인기 학과' 쏠림 현상이 심화될 수 있고, 반대로 비인기 학과는 존폐를 위협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공이 정해지지 않은 신입생이 1학년 때 소속감 없이 학교생활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고, 진로를 탐색하기에 1년은 짧은 시간이라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있다.

    이에 교육부는 당초 무전공 선발 비율이 25% 이상을 넘어야 국고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계획에서 가산점을 주는 방식으로 한발 물러섰지만 우려는 여전하다.

    지난 1월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135개교 대학 총장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 44개교(32.6%)가 '학문 편중, 전공 쏠림 현상'을 걱정하고 있다는 취지로 답했다.

    한편, 대교협은 수험생·학부모 정보 제공을 위해 대입정보포털' 대학어디가'에 대학별 2025학년도 자율전공 모집 현황을 게시한다.

    교육부는 SNS(유튜브·블로그 등)에 전공자율선택 대학생들의 경험담과 대학 운영 사례 등의 정보를 담은 영상·자료를 게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