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정 협의체에 의료계 참여 촉구 환자도 참여한 '5자' 확대 요구도 의사들 나와 응급대란 해결책이라도 논의해야중증환자들 '공포감' 지속 … 지체할 시간 없어블랙리스트·패륜 발언 연일 도마 … 의료계 '사과' 필요
  • ▲ ⓒ정상윤 기자
    ▲ ⓒ정상윤 기자
    7개월째 지속되는 초장기 의료대란으로 인해 환자들이 피해가 사망으로 이어지는데 의정 사태는 좀체 해결되기 어려운 국면이다. 여·야·의·정 협의체 발족이 마지막 희망으로 여겨지나 의료계 참여는 비관적이다.

    2025년, 2026년 의대증원 원점논의 시점 등 조건을 두고 팽팽한 견해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환자들은 "생명보다 중요한 것이 이권"이냐며 울분을 토하고 있다. "일단 대화를 진행해 답을 찾고 탓을 나중에 해달라"는 호소가 이어졌다.

    12일 뉴데일리가 다수의 환자, 보호자, 환자단체 등에 의견을 문의한 결과, 의료계도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하고 추석 전 대화 테이블을 만들어 응급대란 해결책을 논의해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4자 협의체에 더해 환자도 참여한 5자 협의체를 구성해 현재의 참담한 실정을 낱낱이 드러내 문제를 바로 잡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주장은 이날 국회 소통회관에서 발표된다.

    폐암말기 환자의 보호자 A씨는 "병원으로 돌아와 환자를 보면 끝나는 간단한 해결 방법이 있다. 그런데 정책 하나가 환자의 목숨을 살리는 것보다 중요한 시대가 된 것이 애석하다. 일단 대화하는 자세라도 보여야 환자가 안심할 수 있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응급실 거부 문제로 가족이 사망에 이른 B씨는 "기저질환이 있어 심각할 수 있다고 강조해도 배후진료 인력이 없다며 쫓겨나 사망에 이르게 됐다"며 "막무가내 정책설계 탓도 있을 것이며, 눈앞의 환자를 포기한 의사의 탓도 있다. 가족 입장에서 어느 쪽에 울분이 더 크겠냐"고 했다. 

    식도암말기 환자의 보호자 C씨 역시 "의료대란이 얼마나 심각한지 체감하지 못했는데 부친이 막상 중증질환으로 판정받자 억울함이 몰려든다. 왜 시기에 아픈 것이냐는 설움이 북받쳤다. 당장 대화라도 해서 사태를 종결짓고 안심할 수 있게 해달라"고 했다. 

    일련의 대화 과정에서 환자들의 공통적인 입장은 정부, 의료계 모두 전향적 자세로 대화에 일단 참여해 사태를 해결해달라는 것이었다. 의대증원 셈법을 두고 공방전을 벌이는 것이 생명보다 중요한 문제는 아니므로 어떤 방식으로든 의료공백을 없애는 것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응급실 뺑뺑이'는 누구라도 당사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으로 작용하는데, 여기에 더해 '응급실 블랙리스트, 의사 커뮤니티 패륜 발언'으로 파문이 일었다. 

    이 논란이 실제 의료현장에 적용된면 사망을 조장하는 행위로 간주된다. 일부 후배의 일탈이어도 의료계의 철저한 반성과 사과가 필요하다.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장은 "더 지체할 시간이 없음을 모두가 알고 있다. 당장 의료계도 협의체에 나와 대화해야 한 명이라도 더 살릴 수 있다. 정책설계 과정에서 문제는 추후 철저하게 조사하고 문책하자. 일단 죽음을 앞둔 환자부터 살려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환자의 입장에서 의사단체가 요구하는 '사건의 원인론을 강조하며 의정 사태를 정부의 탓'으로 돌리기엔 한계가 있다. 당장 눈앞에 의사가 오지 않아 발생한 문제이기 때문"이라며 "무엇보다 의사-환자의 신뢰 회복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