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사 전 임원 동의 받아 친인척 대출정보 관리전체 동의 현실적으로 어려워… 과도한 정보수집 논란부당대출 재발방지책 일환… 강제성은 없어
-
-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손태승 전 회장의 친인척 부당 대출 사고 관련 재발방지를 위해 “그룹사 전 임원의 동의를 받아 친인척의 신용정보를 등록시키겠다”고 밝히면서 후폭풍이 예상된다.현실적으로 모든 친인척의 대출정보를 등록하기 어려운 데다 과도한 정보수집이라는 뒷말이 나온다.임 회장은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번 사건은 우리금융의 내부통제, 잘못된 기업문화 등 복합적 문제가 근본적 원인이 됐다고 생각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그러면서 우리금융 그룹사 전 임원의 동의를 받아 친인척에 대한 신용정보를 등록시키겠다고 밝혔다. 임 회장은 “관련 대출 취급 시 처리지침을 마련하고, 사후 적정성 검토 등 엄격한 관리프로세스를 만들겠다”고 했다.이번 프로세스는 그룹사 임원 총 200여명이 대상이며, 그들의 친인척을 '공유차주'로 묶어 통합적으로 대출을 관리한다는 의미다. 구체적으로 임원과 친인척(본인 및 배우자의 직계존비속, 형제자매)의 동의를 받아 친인척이 우리금융 전 계열사에 보유한 대출 정보를 대출 승인 전산시스템에 등록해 부당 대출을 원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다만 임원의 친인척 등 당사자가 정보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강제하지는 않기로 했다.이를 놓고 일각에서는 금융사의 과도한 정보수집이라는 지적이 나온다.우리은행의 한 직원은 “친인척 모두의 대출정보를 동의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고, 당사자가 반대할 경우 임원에게 불이익이 가진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우리은행 관계자는 이에 대해 “대출정보 등록이 의무사항은 아니며, 동의하지 않는다고 해서 인사 상 불이익을 받지도 않는다”면서 “금융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하나의 대책이자 노력의 일환”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