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신한‧우리금융, 3분기 누적 이자이익 24조하나금융 3분기 누적 이자이익 6조원대 전망은행권, 인위적 금리조정으로 '이자 따먹기'
  • ▲ ⓒ뉴데일리 DB.
    ▲ ⓒ뉴데일리 DB.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이 올해 3분기까지 이자로 벌어들인 돈이 자그마치 3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과 자금난 등으로 가계·기업대출이 불어나면서 전체 이자이익 성장을 이끌었다. 특히 급격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를 조절하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에 은행들이 일제히 대출 가산금리를 올린 것이 수익 성장세로 이어졌다.

    연초 대출규제 강화, 홍콩 ELS(주가연계증권) 손실에 따른 보상, 기준금리 인하 전망 등으로 올해 금융회사들의 실적 뒷걸음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가 은행들의 실적을 키우는 동력이 돼 준 셈이다.

    ◇ 4대 금융 이자이익, 2년 연속 40조 돌파 전망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주 실적발표를 한 KB‧신한‧우리금융이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벌어들인 이자이익은 총 24조6301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3조5869억원)보다 4.4% 증가한 것이다. 

    여기에 아직 3분기 실적을 공개하지 않은 하나금융까지 합할 경우 4대 금융그룹의 3분기 누적 이자이익은 3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회사별로는 KB금융의 3분기 누적 이자이익이 4대 금융 중 가장 많은 9조5227억원을 기록했다.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던 지난해보다 6% 넘게 많은 수준이다.

    신한금융의 3분기 누적 이자이익 역시 지난해 8조313억원에서 올해 8조4928억원으로 5.7% 늘었다.

    우리금융의 올해 이자이익은 6조6146억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100억원가량 증가했다.

    오는 29일 실적발표를 앞둔 하나금융은 올해 상반기까지 4조3816억원의 이자이익을 거뒀다. 하나금융의 분기 이자이익이 2조원 초반대인 점을 감안하면 3분기 누적 6조원 중반대 이자이익이 예상된다. 

    이 경우 4대 금융의 3분기 누적 이자이익은 31조원 안팎으로 사상 최대 수준이 될 전망이다. 앞서 4대 금융 합산 이자이익은 올해 상반기에 사상 처음으로 20조원을 돌파했었다.

    올해 금융지주들의 분기별 이자이익 규모는 KB와 신한금융이 3조원 안팎, 하나와 우리금융이 2조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올해 4대 금융의 이자이익 규모는 40조원을 훌쩍 넘어 또다시 사상 최대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4대 금융의 이자이익은 지난해(40조6000억원) 처음으로 40조원을 돌파했었다.
  • ▲ ⓒ뉴데일리 DB.
    ▲ ⓒ뉴데일리 DB.
    ◇ 받는 이자 많게, 주는 이자는 적게… 예대금리차 지속 확대

    이자이익 성장은 시장금리 하락에도 인위적 금리 조정으로 예대금리차가 확대된 결과다.

    특히 시중은행들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예금금리를 신속히 내리는 반면 가산금리를 올리는 방식으로 대출금리를 높게 유지하고 있다.

    통상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빨리 내리면서 은행의 예대마진이 줄게 된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압박을 이유로 은행이 인위적으로 대출금리를 높게 유지하면서 예대금리차가 오히려 벌어진 것이다. 은행들을 향한 ‘이자장사’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하향 안정화되던 추세였던 예대금리차는 지난 8월부터 크게 확대되기 시작했다. 지난 8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 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 제외)는 평균 0.57%포인트로 4개월 만에 확대됐다.

    은행들은 대출금리를 인하할 경우 수요가 대폭 증가할 수 있어 현재 수준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실제 주요 은행들은 지난 7, 8월 가산금리를 20회 이상 인상했다. 이 기간 국민은행은 총 7번,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5번의 금리를 인상했으며, 이 흐름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이 지난 25일, 또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지난 21일 주담대 금리를 인상하는 등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후 대출금리 높이기는 오히려 전 은행권으로 확산하는 모양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들이 가계대출 수요 관리를 위해 고금리 수준의 대출금리를 계속 유지하고 있어 예대금리차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예대금리차 확대로 금융 소비자들의 부담만 확대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