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제9차 대외경제자문회의' 주재車 중심 수출 악화 전망 … "수출 다변화 촉진 등 필요""美관세 낮추기 위해 지속 협의 … 업종별 대책 신속 마련"
  •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민·관 연구기관장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민·관 연구기관장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미국 관세조치 대응에 대해 "다른 나라의 대응 동향 등을 예의주시하고 최적의 협의 전략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8일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대외경제자문회의'에서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최근 미국 관세 조치의 정치경제적 배경과 전략적 의도를 짚어보고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대외경제자문회의는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응해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과 정책 제언을 경청하기 위해 작년 4월에 도입한 비상설 회의체다.

    이날 회의에서 민간 전문가들은 "미국 신정부가 무역적자·재정적자 해소, 효과적인 대(對)중 견제를 위해 대외정책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있으며, 최근 관세 조치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미국 내 이해관계자별로 상이한 반응과 국가별로 엇갈린 대응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향후 전개 양상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대(對)미 협상을 앞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해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이들 민간 전문가는 "미국 관세 조치에 따라 자동차·자동차부품을 중심으로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며 우리 기업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수출경쟁력 강화, 수출 다변화 촉진 등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에 최 부총리는 "통상교섭본부장 방미 등을 통해 미국 측의 구체적인 입장과 향후 계획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에 대한 25% 관세를 낮추기 위해 미국 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여타국 동향도 면밀히 분석하고 경제안보전략 테스크포스(TF) 등을 통해 대미 협의 방향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했다.

    아울러 최 부총리는 "국내 대책과 관련해 금주 중 자동차산업 지원방안을 마련·발표하고, 중소·중견기업 등 취약부문과 업종별 대책도 신속히 마련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당면한 도전이 우리 경제를 근본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등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다.

    한편, 최 부총리는 최근 미국 관세 조치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24시간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하면서 과도한 변동성에는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 조치를 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