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 관세로 대응하면 자해성 피해 더 커져""최대한 빨리 협의해 근본적 해결 주력할 것""미국 측에서 긍정적인 시그널 나오고 있어"
-
-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미국 정부의 개별 상호관세 조치가 9일 발효된 가운데 정부는 보복 관세로 맞서기 보다는 협상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조선 분야를 주요 협상 카드로 삼겠다는 구상이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보복 관세 형태로 대응하는 경우 한국처럼 무역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자해성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며 "산업계도 이 문제를 빨리 해결해야 하며 우리가 문제를 악화시켜선 안 된다는 데 공감하고 있어서 미국과 최대한 빨리 협의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했다.안 장관은 미국 관세 전쟁에 대한 협상 카드로 조선업을 꼽았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조선업 협력에 대해 굉장히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서 조선 분야가 중요한 협상 카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이어 "미국의 경우 조선 산업 역량이 2차 대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한국이 갖춘 조선 기술과 제조 역량에 대해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며 "안보 측면에서도 돈독한 동맹 관계를 강화시켜 놓은 부분들이 굉장히 큰 신뢰를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미국이 한국에 25%에 달하는 상호관세를 부과한 상황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안 장관은 "한미 FTA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안장관은 "한국은 FTA로 관세 베이스가 '0'이어서 상호관세를 적용하면 25%만 내고 들어가지만 미국과의 FTA가 없는 경쟁국인 일본과 유럽연합(EU)은 27.5% 관세를 맞았다"고 부연했다. FTA로 인해 상호관세 부과에도 한국이 경쟁국보다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지를 점했다는 설명이다.안 장관은 향후 미국과의 협상에 대한 기대감도 내비쳤다. 그는 "어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통화한 이후 미국 측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시그널이 나오고 있다"며 "제가 조만간 미국에 갈 계획이며, 통상본부장이 돌아오면 이번에 미국과 협의한 내용을 파악해 범부처적으로 분석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