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폐쇄주의로 일관… 금융산업 정치권력에 예속시켜"
  • ▲ 금융권 CEO 선출 과정에서 생긴 논란과 관련, 신제윤 위원장이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NewDaily DB
    ▲ 금융권 CEO 선출 과정에서 생긴 논란과 관련, 신제윤 위원장이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NewDaily DB

    최근 금융권 CEO 선임 과정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이 같은 '인사난맥'의 책임을 금융당국이 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금융 관련 시민단체 금융소비자원은 "금융위원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채 정권의 심부름꾼으로 전락해 금융산업을 정치권력에 예속시켰다"며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정찬우 부위원장 등은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9일 주장했다.
 
금융소비자원은 또 "금융위는 이번 인사난맥의 원인을 외부에 돌리지 말아야 한다"며 "인사에 대한 모범규준 제정을 금융업계에만 강요할 것이 아니라, 금융위 스스로 먼저 시장의 신뢰를 받을 만한 인사원칙, 운영원칙 등에 관한 모범규준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의 "서금회(서강금융인회) 멤버가 각 금융사 CEO에 이미 내정됐다는 소문은 시장에서 만들어낸 이야기"라는 발언에 대해서도 금융소비자원은 정면 반박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원장은 "신 위원장은 언론 보도를 '만들어낸 이야기'라고 깎아내렸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비밀주의와 폐쇄주의로만 일관한 채) 시장에 제대로 알려준 정보가 없다. 그렇다면 국민이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한단 말인가"라고 비판했다.

조 원장은 "비밀주의와 폐쇄주의로 일관하면서 그렇게 발언한 것은 시장을 무시한 처사"라며 "이 같은 사태에 금융위의 책임이 크기 때문에 금융위에 대한 조직축소를 실시하고 관련자 책임을 물어야 한다. 특히 금융위원장과 부위원장 등은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최근 교체된 금융권 CEO들 중 이광구 우리은행장, 홍성국 대우증권 사장 등은 서금회 출신이란 이유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서금회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07년 당시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탈락하자 이를 안타깝게 여긴 서강대 출신 금융인이 결성한 것으로 알려진 모임이다. 금융권에서는 "관피아(관료+마피아)가 물러나니 그 자리를 서금회가 채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 밖에 새로 은행연합회장에 선임된 하영구 전 씨티은행장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었다. 하 회장이 차기 회장에 낙점됐다는 소문이 금융권에 돌았지만, 정작 시중은행장들은 금시초문이었다는 반응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보이지 않는 손'이 인사에 개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금융권에서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