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휴드폰 진료는 비정상 행위…대형 의료사고 부를수도"
의사들 다수, "현재 기술, 대면진료 대체할만한 원격진료 불가능"


 
최근 
의료계 총파업과 관련
의사 10명 중 8명이 
[원격의료 도입에 원천적으로 
반대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어서 
눈길을 끌고 있다.

14일 
한 의료 전문매체가 의뢰한 
설문조사 시스템에 따르면
대한민국 의사면허를 가진 
108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정부의 원격의료 허용 추진]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0% 이상이
원천적으로 [반대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장단점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사회적 합의과정을 거쳐 결정해야 한다]는 답이 14.3%,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이뤄진다면 찬성한다]는 답이 4.3%로 
사실상 전체 응답자의 99% 이상이 
정부의 일방적인 원격의료 추진에 반대의 입장을
드러냈다.

또한 
원격의료 도입을 반대하는 큰 이유로는
1차 의료 몰락 등
의료전달체계 왜곡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꼽았다.

원격의료 도입이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응답자의 65.2%는
[1차 의료기관의 몰락 - 의료전달체계의 붕괴 - 국민 의료접근성 하락]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로 이어질 것이라는 답을 내놨으며,
의료전달체계 왜곡현상이 더 심화될 것이라는 지적과
직접 이해당사자인 개원의(69.9%) 뿐만 아니라 
봉직의(67.5%), 전공의(62.5%), 교수(52.6%) 등
전 직역에서 이를 가장 큰 우려점으로 꼽았다.

국민의 피해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응답자의 29.9%는 
원격의료 도입시 
[오진에 따른 부작용으로 환자 피해가 많아질 것]이라고 
지적했으며,
1.7%는 [국민 의료비 증가]를 
우려했다.

원격의료 도입으로 
정부가 주장한 정책목표가 달성될 것이라 믿는 
응답자는 거의 없는 것도 눈에 띄는 결과다.

정부의 주장처럼
원격의료 도입 시
[1차 의료가 강화되고 동네의원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0.7%에 그쳤다.

또한 
의사들 가운데 절대 다수가
대면진료를 대신하는 형태의 원격의료는 
[말도 안된다]는 입장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환자를 제대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필수과정인 문진, 청진, 시진, 촉진, 타진 등
다양한 진찰과정과 검사 등을 생략한 행위인만큼,
안정성과 유효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

더욱이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충분히 대면진료를
대체하는 원격진료가 불가능 하다는 게 
의료계의 중론이다.

"원격의료는 크게 
원격지 의료진 간의 원격자문,
원격검진에 의한 진료 및 처방,
원격교육, 원격수술, 원격간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의사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은 환자의 생체신호, 혈당, 혈압, 맥박 등
측정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지의 환자에게
상담을 해주거나 처방을 해주는 것을 
원격진료라고 부른다.

의료계와 정부가 갈등을 빚고 있는 지점이 
바로 이 원격진료이다.

원격진료는 
기본적으로
휴대전화를 이용한
진료에 불과하다.

대면진료보다 안정성과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원격의료에 반대하는 것은
비정상적인 상태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정부가 실제 추진하는 원격의료는
만성질환, 경증질환 환자 등을 대상으로
원격의료를 허용한다는 뜻이다.

전체 환자의 70~80%가 이에 해당되기에
위험하다는 것이다."

   - 대한의사협회 노환규 회장



한편
최근 의협의 총파업 선언과 관련 
네티즌들의 갑론을박이 눈길을 끌었다.

총파업을 지지하는 
‘카****’라는 대화명의 한 네티즌은  
[어설픈 원격의료는 자칫하다간 
대형 의료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는 반면,

총파업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내비친 
‘송*****’ 네티즌은
[원격진료를 하지 말자는 건
스마트 시대를 시대를 역행하겠다는
퇴행적인 생각인 것 같다. 정부 의견을 존중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