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클라우드, ‘마이박스’ 유료 사용자 200만 돌파… MZ 대세 서비스로 우뚝
네이버클라우드가 개인용 파일 저장 클라우드 서비스 ’MYBOX(이하 마이박스)’가 유료 사용자 200만명을 넘어섰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2022년 100만 유료 사용자 달성 이후 2년 만이다. ‘마이박스’가 사진과 영상으로 일상을 기록하는 MZ세대의 대세
2025-01-20 강필성 기자 -
네이버웹툰, 동남아 현지 창작자 육성 ‘트레이닝 캠프’ 개최
네이버웹툰이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현지 웹툰 창작자 육성에 적극 나선다고 20일 밝혔다.네이버웹툰은 아시아권에서 한국어, 일본어 외에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중국어(번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 작품 수출과 함께 현지 웹툰 생태계 구축에도 적극 투자해 글로벌
2025-01-20 김성현 기자 -
SKT 'T팩토리', 홍대서 마지막 전시… 4년 활동 마무리
SK텔레콤은 ICT 복합문화공간 ‘T팩토리’가 지난 4년여 간의 활동을 마무리하며 홍대에서 마지막 전시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SKT는 오는 23일부터 2월 26일까지 T팩토리에서 ‘굿나잇, T팩토리’를 주제로 전시를 진행한다. 이번 전시를 끝으로 T팩토리는 홍대에
2025-01-20 강필성 기자 -
넥슨, 삼성전자와 ‘퍼스트 버서커: 카잔’ 3D 기술 업무 협약
넥슨은 삼성전자와 개발 자회사 네오플 신작 ‘퍼스트 버서커: 카잔(이하 ‘카잔’)’에 대해 ‘오디세이 3D’를 통한 3D 게이밍 개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삼성전자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3D’는 별도의 3D(3차원) 안경 없이도 혁신적인 3
2025-01-19 강필성 기자 -
SKT, 설 앞두고 파트너사에 1230억원 조기 지급
SK텔레콤이 설 연휴를 앞두고 비즈니스 파트너사들의 재정 부담 완화와 내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약 1230억 원 규모의 거래 대금을 조기 지급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이번 대금 조기 지급에는 SKT와 SK브로드밴드·SK스토아 등 ICT 패밀리가 함께 참여하며, 명절
2025-01-19 강필성 기자 -
LG U+, 대학생 앰배서더 ‘유쓰피릿’ 15기 모집
LG유플러스가 Z세대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마케팅 활동을 펼치는 대학생 앰배서더 ‘유쓰피릿’ 15기를 모집한다고 19일 밝혔다. 유쓰피릿은 Z세대를 대표하는 대학생들이 LG유플러스의 20대 전용브랜드인 ‘유쓰(Uth)’를 비롯해 다양한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고
2025-01-19 강필성 기자 -
넘치는 AI 수요… 삼성전자 수율만 기다린다
TSMC가 실적발표에서 AI(인공지능) 반도체 수요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면서 올해도 파운드리 시장 분위기도 AI칩이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TSMC가 넘쳐나는 주문을 다 소화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언급하면서 첨단 공정 기술을 갖춘 또 하나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사인
2025-01-19 장소희 반도체전문기자 -
삼성전자 직원들, 성과급 주식으로 받는다… 책임경영 강화
삼성전자가 내년부터 직원들에게 성과급의 일부를 자사주로 받을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앞서 SK하이닉스가 이 같은 형식의 주주 참여 프로그램을 시행한데 이어 삼성도 반도체 인재들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를 도입하는 것으로 보인다.삼성전자는 17일 사내 공지를 통해 내년부
2025-01-17 장소희 기자 -
[데일리 IT 단신] 네이버, 한국생태학회와 생물다양성 보전 방안 발굴 外
◆네이버, 한국생태학회와 생물다양성 보전 방안 발굴네이버가 한국생태학회와 생물다양성 보전 방안을 발굴하고 ESG경영을 고도화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협업으로 네이버와 한국생태학회는 데이터센터 각 춘천과 커넥트원 주변 생태 현황을 파악하는 연구 조사를 진행한다. 춘
2025-01-17 김성현 기자 -
티빙, ‘Apple TV+’ 론칭에 프리미엄 이용자 20배 ‘껑충’
국내 OTT 티빙이 ‘Apple TV+’ 브랜드관 론칭 후 프리미엄 요금제를 이용하는 비중이 급증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10일 ‘Apple TV+’ 브랜드관 론칭 이후 프리미엄 이용에 대한 구독 기여가 전날 대비 2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
2025-01-17 강필성 기자 -
해외 업체에 밀린 국내 음원 플랫폼, 신사업으로 돌파구 모색
국내 음원 스트리밍 시장에 글로벌 음악 서비스가 생태계 포식자로 군림하면서 국내 음원 플랫폼의 입지가 점차 좁아지고 있다. 이에 신사업 발굴을 통해 돌파구 마련에 나서고 있다. 17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4 음악 이용자 조사’에 따르면 음악 스트리밍 및
2025-01-17 김성현 기자 -
게임업계, 연초부터 신작 경쟁 뜨겁다
올해는 게임업계에 각별한 해가 될 전망이다. 주요 게임사가 2025년을 실적 회복의 원년으로 삼으면서 연초부터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 전반적인 게임시장의 위축 속에서 신작 흥행을 통해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방침이다.17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는 다양
2025-01-17 강필성 기자 -
[데일리 IT 단신] LGU+, 2017년부터 통신용어 총 2만개 개선 外
◆LGU+, 2017년부터 통신용어 총 2만개 개선LG유플러스가 2017년부터 진행한 ‘고객 언어 혁신’ 활동의 결과로 총 2만개의 통신 용어와 문구를 검수해 고객 중심의 언어로 순화했다.고객 언어 혁신 활동은 고객이 상담을 받거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해하기
2025-01-16 김성현 기자 -
개점휴업 장기화 되는 방통위… 올해 업무 계획도 '제자리걸음'
방송통신위원회 업무 공백이 장기화되면서 올해 업무계획도 지난해 추진 과제를 답습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탄핵 판결을 앞둔 이진숙 방통위원장이 복귀하더라도 최소 의사정족수를 규정한 방통위 설치법이 통과되면 정상화 시점은 더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16일 업계에 따르면 방통위
2025-01-16 김성현 기자 -
[비하인드컷]
이구환신에 낸드 시장 '꿈틀'… 삼성·SK 속내 복잡한 까닭
지난해 좀처럼 회복되지 않던 PC와 스마트폰용 메모리 수요가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으로 되살아날 수 있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낸드플래시 메모리 가격이 먼저 움직였다. 하지만 당분간은 큰 폭의 시황 개선은 어렵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감산 대열
2025-01-16 장소희 반도체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