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이 "정부가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 설치하는 보(洑)의 숫자가 당초 발표된 것보다 4개 많은 20개로 드러났다"며 정부의 '축소 발표'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 국토해양부가 해명에 나섰다.

    국토부는 23일 "이들 신문에 언급된 보는 친수조성용(물놀이용)으로 계획된 것"이라며 "기존 4대강 본류에도 이러한 소규모 물놀이용 보는 36개가 설치돼 있고 지천까지 포함하면 매우 많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마스터플랜에서 발표한 16개의 보는 물 확보용"이라면서 "성격이 달라 (4개 보의 추가설치를)발표에서 제외했을 뿐 숨길 의향은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또 "앞으로도 도심구간에 대해선 지역 건의에 따라 물놀이용으로 추가로 보를 설치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하회보 설치시 하회마을 앞 백사장 잠길 수 있어"

    기사본문 이미지
    야당, 종교계, 시민사회단체 참가자들이 지난 18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4대강 죽이기 사업 저지 범국민대책위원회' 발족 기자회견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연합뉴스
    경향신문은 23일 보도에서 "국토부에 따르면 정부는 낙동강에 2개, 금강에 1개, 금강 지류 미호천에 1개 등 모두 4개의 보를 설치할 계획"이라며 "이 보는 지난 8일 발표한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종합계획)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낙동강에는 경북 안동 하회마을 바로 아래와 이곳에서 7㎞ 하류 지점에 ‘하회보’와 ‘구담보’가 설치돼 낙동강에는 총 10개의 보가 설치된다"고 덧붙였다.

    경향신문은 이처럼 보의 설치가 추가로 계획돼 있음에도 불구 정부가 비판여론을 의식해 의도적으로 발표에서 제외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보는 간단한 설계변경만으로 대운하 갑문으로 바뀔 수 있어 4대강 사업이 대운하의 전초 단계일 수 있다는 것.

    또한 ‘하회보’와 ‘구담보’가 발표에서 제외된 이유에 대해서도 경향신문은 이준경 강살리기네트워크 사무처장의 말을 빌어 "하회보를 만들면 마을 앞 백사장이 잠길 수 있어 환경 파괴가 우려된다"며 "하회마을에 미치는 영향 때문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하회마을은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올라있다.

    "설계변경만으로 갑문 설치? 그런 기술 있으면 알려 달라"

    그러나 이같은 주장에 대해 국토부는 "규모 면(높이)에서 하류 8개보는 9m~13.2m이나, 상류 2개보는 2.9m~3m로 소규모"라면서 "상류 2개보가 설치되더라도 둔치가 잠기지 않으므로 하회마을 인근 강변백사장이 잠길 우려는 없다"고 반박했다. 또 "구조면에서 상류에 설치되는 2개의 보는 전폭이 가동보(고무보 등)인 임시 구조물로서, 필요시 보 전체가 가라앉아 흐름을 전혀 방해하지 않는 형태라고 설명"하며 "어디까지나 상류 보는 친수조성용"이라고 거듭 밝혔다.

    특히 4대강 사업이 대운하 전초 단계일 수 있다는 일부 언론의 주장에 대해 국토부는 "갑문이란 단순히 보를 개량해서 만들 수 있는 게 아니고 별도 대형공사를 통해 설치해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 한 관계자는 23일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한반도 대운하 연구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갑문 실치시 1개소당 1000억원의 공사비가 들어간다"며 "정말 간단한 설계변경만으로 보를 갑문으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 있다면 오히려 소개해 달라"고 하소연했다. 그는 또 "화물선이 지나다니려면 적어도 높이가 6.1m는 돼야 하는데 안동은 2m도 안되고 역시 물길도 직선이 돼야 배가 다닐 수 있다"면서 "현재 하천이 구불구불 형성돼 있는 이런 상태에선 도저히 배가 다닐 수 없다"고 반박, 일각에서 제기한 '대운하 전초 단계' 의혹을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