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명동 유네스코회관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넘어" 심포지엄이 진행되고 있다. ⓒ 뉴데일리 “광우병 사태부터 천안함 침몰까지 MBC를 비롯한 진보언론들의 보도는 정파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이는 언론이 공정하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닌, 이성이냐 야만이냐의 문제다”
시장경제제도연구소(조동근 이사장)와 한국지속가능기업연구회(조중근 회장)는 13일 오전 명동 유네스코 회관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넘어’ 제 3차 심포지엄에서 ‘법조계와 언론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열었다.
이날 '언론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발표한 이재교 변호사 ⓒ 뉴데일리 진보언론의 이 같은 행태는 천안함 사태에서 두드러졌다.
이 변호사가 언론들의 천안함 보도태도를 분석한 결과, ‘사고원인’에 대한 해석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고 밝혔다.
사고 직후부터 지난 4월 9일까지 방송 3사중 KBS와 SBS는 천안함 사고원인을 ‘외부충격’으로 보도한 반면 MBC는 그 이유로 ‘자체결함’을 꼽았다.
또한, 5개 일간지 중 중앙일보가 침몰 원인으로 ‘북한공격’(57%)을 주로 거론했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북한공격’과 ‘외부충격’을 비슷한 비율로 제시. 하지만 한겨레는 ‘원인미상’을 가장 높게 보도하고, 경향신문 역시 ‘원인미상’과 ‘자체결함’에 힘을 실었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는 사고 직후 미국 국무성 관리의 발언을 근거로 ‘천안함 침몰이 북한에 의한 것이 아니다’는 내용의 제목을 1면 톱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그 관리는 “북한의 소행이라는 증거가 아직 없다”고 말했을 뿐이다. 이에 이 변호사는 “북한의 소행이 아니라는 사실을 간절히 희망하고 있지 않고서는 그런 제목이 나올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심지어 민군합동조사단에 의해 북한의 공격이 사실상 확실시 된 상황에서도 진보 언론들의 ‘북한 감싸기’는 계속됐다. 지난 4월 16일부터 25일까지 일간지의 보도 태도를 보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는 외부폭발에 대한 의혹을 제기한 기사는 모두 사라지고, ‘북 공격 규정과 대응 제기’에 대한 기사를 실었다. 그러나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여전히 ‘외부폭발’에 대한 의혹을 제시했다.
이 후 조사가 진행되면서 자체폭발사고가 아닌 외부 폭발이 명백해지자 조선, 중앙, 동아일보 그리고 SBS와 같은 보수언론은 사고원인을 북한의 공격으로 가정. 그 대응책으로 보도의 범위를 좁혀갔다. 그런데 MBC와 한겨레, 경향 등의 진보언론은 북한의 공격가능성에 애써 외면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 같은 태도에 이 변호사는 “우리 언론, 특히 진보언론의 병폐 중의 하나인 진영사고(陣營思考)를 확인할 수 있다”며 “자신의 진영에 유리한 것은 허위라도 믿으려 하고, 불리한 것은 명백한 증거가 있어도 부정하려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천안함 사건뿐만이 아니다. 2008년 광우병 사태에서도 언론의 여론몰이식 편파적 보도는 국민들을 불안에 떨게 했다. 대표적인 예로 MBC PD수첩 광우병 보도를 들 수 있다.
이 변호사는 PD수첩이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위험을 ‘구명’해 냈다”며 “CJD, vCJD, SRM 등의 전문용어를 사용하고, 원인불명으로 죽은 여성의 어머니를 인터뷰해 PD의 각본에 맞춰 적절하게 ‘의역’했다”고 전했다.
이어 “광우병과 무관하게 쓰러지는 소를 광우병소라고 조작함은 물론 미국산 쇠고기를 먹기만 하면 치사율 100%의 광우병에 걸릴 것이라는 여론 형성을 했다”며 “PD수첩 프로그램은 ‘새로 출범한 이명박 정부를 주저 앉혔다’고 자평할 정도다”라고 말했다.
현재 ‘미국산 쇠고기의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는 사실이 명백해져 국내 시장에 미국산쇠고기가 넘쳐나고 있다. 하지만 먹기만 하면 광우병에 걸려 죽을 것처럼 떠들던 언론매체들은 지금까지 아무런 말이 없다.
이 변호사는 “이 정도라면 언론이 공정하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라 이성이냐 야만이냐의 문제로 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며 “이처럼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정파성을 어떻게 벗어날 것인지, 즉 야만으로부터 탈피하는 일이 언론의 사회책임면에서 당면한 과제다”며 시급한 개선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