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공사중 사진 부각시켜 "지류 침식" 주장현장 "극히 일부분 촬영...어처구니없다"4대강추진본부 "지금도 침식방지시설 계속 설치중"

  • 한동안 잠잠하던 4대강현장이 ‘침식’소동으로 시끄럽다.
    얼마전 한 독일 교포가 지류에 ‘역행침식’이 진행된다고 주장한데 이어 2일엔 녹색연합이 낙동강 33공구 낙동강 지류인 병성천이 작은 비에도 침식되고 있다며 “4대강 재난이 시작됐다”는 주장을 했다. 이 주장은 다시 경향신문 2일자에 2월과 3월 비교사진과 함께 실렸다.

  • ▲ 낙동강 상주보로 흘러드는 지천 병성천 현장. 빨간 점선 부분으로 임시 유도수로가 설치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준설 등 공사가 진행된다. 현장에서는
    ▲ 낙동강 상주보로 흘러드는 지천 병성천 현장. 빨간 점선 부분으로 임시 유도수로가 설치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준설 등 공사가 진행된다. 현장에서는 "환경단체가 빨간 유도수로 가까이 근접촬영 지류침식이 심각하다고 과장해서 억울하다"고 했다.

    2월 사진에는 마대자루로 개천의 한쪽으로 물길을 유도한 채 한쪽의 퇴적토를 준설하는 공사를 하고 있었다. 3월 사진에는 준설이 끝나 마대자루로 구분했던 임시수로와 모래가 가득했던 둔치가 같은 높이로 낮아진 모습이었다.

    이런 모습을 두고 환경단체는 작은 비에도 물길이 바뀌어 침식됐다는 주장을 편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주장은 터무니없는 주장으로 밝혀졌다.
    현장에 따르면 이곳은 한쪽을 준설하고 물길을 돌린 뒤 마대자루로 막은 뒤 나머지 둔치를 준설하는 공사 중이었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 김한창 낙동강 사업2팀장은 “환경단체가 침식의 증거라고 주장한 현장 사진은 준설을 다해 둔치가 낮아져 물이 넓게 흐르는 사진일 뿐, 침식돼 나간 모습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33공구 현장의 김선출 대리는 “환경단체 제공으로 보도에 소개된 사진은 공사장의 극히 일부분을 확대 촬영한 것이다. 임시 수로와 공사중이 사진을 침식의 증거라고 하다니 어이가 없다”고 말했다.

    경향신문이 환경단체의 자료를 근거로 실은 기사 내용의 쟁점과 실제 현장을 비교하면 환경단체의 주장이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밖에 없다.

    우선 ‘지천 바닥이 패자 공사업체가 침식을 막기위해 제방을 쌓았고, 제방도 무너지고 있다.’는 주장.
    그러나 이곳 1:707 경사다. 즉 707m길이에 1m의 고도차가 있는 완만한 경사라는 뜻이다. 이런 경우 작은 60mm비에 ‘제방’이 무너진다는 것은 근거가 약하다. 또한 기사에서 언급한 인공제방은 제방이 아니라, 하상유지공 시공과 준설 등을 위해 물길을 다른데로 유도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배치한 대형 마대주머니이다.

    또 한가지 쟁점은 ‘준설이 끝났는데 그만큼 지류가 모래를 다시 채웠다.’ ‘모래톱이 생겼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현장관계자는 “준설로 수위가 낮아져 수면으로 노출된 모래가 노출된 것일뿐”이라고 일축했다.

    세번째, ‘60mm비에 지천에서 30만㎥의 대규모 모래가 쓸려와 섬을 형성했다’는 주장도 있다.

    현장에서는 가장 억울해하는 부분이다. 현장관계자에 따르면 “모래 30만㎥라면 길이 3km 폭 50m, 깊이 2m의 지류 토사가 몽땅 없어져야 가능한 수치다. 현실적으로 말이 안되는 수치”라는 것이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일부 언론에서 ‘본류의 준설로 지류의 침식이 진행되는데 대책이 없다’고 지적에 대해 “올해 안에 수립되는 지류하천종합정비 계획에 미비점을 보완해 나갈 것”이라며 “현재도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영향을 받는 하천의 112곳에 하상 유지공을 설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상유지공이란 강바닥이 물에 패나가지 않고 일정 물높이를 유지시켜주는 간이 물막이 구조물을 말한다.
    또 “낙동강 지류 병성천의 경우도 올 6월 이전 길이 123m, 폭 44~80m의 하상유지공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 낙동강 상주보로 흘러드는 지천 병성천 현장. 빨간 점선 부분으로 임시 유도수로가 설치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준설 등 공사가 진행된다. 현장에서는

    한편 병성천은 낙동강 33공구 상주보 바로 상류에 흘러드는 지류다. 상주보 상류엔 낙동강 10경에 해당되는 아름다운 수변공간이 설치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 ▲ 낙동강 상주보로 흘러드는 지천 병성천 현장. 빨간 점선 부분으로 임시 유도수로가 설치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준설 등 공사가 진행된다. 현장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