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통신비 부담을 줄이겠다며 야심차게 도입한 '알뜰폰'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대형 통신사보다 최고 70% 저렴한 요금을 내세우며 영업 중인 '알뜰폰' 대리점. 하지만 최신 스마트폰은 찾아볼 수 없다. 대부분 구형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다.

    알뜰폰 대리점에 최신 휴대전화가 없는 이유는 망을 빌려주는 대형 통신사들이 LTE망을 열어주지 않기 때문이다.

    "갤럭시S3나 갤럭시 노트, 옵티머스 LTE는 알뜰폰 매장에서 가입이 안된다. 아직 LTE 망이 알뜰폰 시장에 허용되지 않았다. LTE가 대세지만 알뜰폰 사업자들은 여전히 3G 서비스를 중심으로 제공하고 있다."

    알뜰폰 사업자의 한탄이다.

    SK텔레콤이 뒤늦게 LTE 망을 개방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것도 내년부터여서 알뜰폰 업체들은 하반기에도 고객 유치에 애를 먹을 것으로 전망된다.

    통신비 절감 방안으로 정부가 알뜰폰 정책을 내놓은 지 1년. 하지만 가입자는 고작 80만명, 전체 이동통신 이용자의 1.5%에 불과하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 위원장 이계철)는 지난달 24일 이동통신 재판매(MVNO) 서비스 홍보용어(애칭)를 '알뜰폰'으로 정하며 이동통신 재판매(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서비스를 적극 홍보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정말 홍보에만 열심이다. 방통위는 '알뜰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한국엠브이엔오협회(MVNO협회) 등과 협조해 '알뜰폰'을 활용한 온라인 홍보, 홍보대사 위촉, 홍보포스터 배포 및 신문·라디오·지하철 광고 등의 홍보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가계통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알뜰폰이 본질적으로 유명무실화되는 상황에서 '어디까지나 망을 빌려주고 빌려받는 당사자들 간의 거래'라는 입장을 밝혀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