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대 국제학부 로버트 루돌프 교수와 경제학과 강성진 교수는 최근 "한국 남성은 한국 여성보다 결혼을 통해 얻는 이득이 많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2일 밝혔다.

    루돌프 교수와 강 교수는 수년동안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1000명 가량의 첫 결혼 전후와 200여 명의 이혼 전후 이력을 살폈다.

    한국노동패널조사는 1998~2008년 사이 한국 도시 가정 5000여 가구 13000명 가량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대표적 장기 조사다.

    그 결과 한국 남성은 결혼 시 여성에 비해 높은 삶의 만족을 얻고, 여성의 만족이 결혼 후 2년 후에 보통 사라지는 반면 남성은 높은 행복 지수가 결혼 내내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혼 상황의 경우 반대의 결과가 보여졌다. 여성에 비해 남성이 이혼이나 사별 시 훨씬 더 고통받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21세기 한국의 높은 성 불평등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독일과 영국에서 진행된 비슷한 연구에서는 남녀의 결혼·이혼 시 행복지수가 별 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한국 부부 사이에서는 결혼으로부터 오는 전반적인 이득이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이들은 이번 연구가 '삶에서의 특정 사건이 사람들이 직접 보고한 행복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력'을 조사하기 위해 이뤄졌다고 답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결혼으로 발생한 추가적 행복감이든 이혼으로 생긴 부정적 영향이든 몇 년 사이에 완전히 회복, '개인은 거의 모든 삶의 사건들에 적응한다'는 결론이 나왔지만 한국의 경우 이 '완벽한 적응'이 여성에게서만 발현되며 남성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루돌프 교수와 강 교수는 이에 대해 "비록 전통적인 롤 모델이 최근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고는 해도, 지속적인 성별 격차는 가정과 사회적 삶 여러 방면에 남아있다. 이는 한국인 결혼 안에서의 불균형을 초래할 뿐 아니라 또한 미래의 경제 발전을 제한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해당 연구 논문은 테일러&프란시스(Taylor&Francis)가 발행하는 '페미니스트 이코노믹스(Feminist Economics)'에 게재됐다.